비동시적 동시성,
중첩
이중성
황금사자상 비유
대소, 미추의 상관적 차이
비교. 맹자의 별애, 자기 혈연부터 사랑한다. 나를 중심으로 우선순위를 따지는 선택적 사고
장자의 평등론적 제물사상
7세기 신라 의상, <법성계>, "하나의 개체가 곧 일체이고, 다양이 곧 한 몸이다" 일즉일체 다즉일
삼라만상은 존재론적으로 완전히 평등하게 서로 주고받는 상응작용을 한다는 것.
나의 행위는 가역작용을 통하여 언젠가 나에게 되돌아 온다.
= 일체주의 holism
의상, "조그만 먼지가 온 우주를 머금고 있고... 한없는 긴 시간이 곧 한 생각이다"
상입상즉(상호개입과 상호연계)의 존재양식
물 한 방울의 존재가 무시 이래로 지구에 있던 일체의 물과 상입상즉의 연관성을 지니듯이, 사회생활에서 한 개인의 생각과 행동은 전체 사회의 분위기와 결코 분리되지 않는다. 사회전체의 분위기는 자연환경과도 연관을 맺는다.
우리가 살 길은 투쟁을 통해 미음과 한을 발산하는 것이 아니라, 네 일이 곧 내일이라고 여기는 일심의 사상이다.
개인주의는 전체주의만큼 망상이고 허상이다.
일체주의 holism은 전체주의 totalitarianism와 다르다. 전자는 서로 다르기에 교응하는 자연적 사실주의와 닮았고, 후자는 모든 차이를 지우고 중심주의를 조작하여 그 중심을 열광적으로 경배하게 한다.
마음에 정치적, 종교적, 계급적, 민족적, 성별적 생각이 똬리를 틀고 앉아 있으면, 어떤 것도 올바르게 듣거나 볼 수 없다. 투사는 또 다른 적대적 투사를 낳는다. 투사의 문화는 투쟁적인 만큼 편파적이라는 것을 깊이 깨닫자.
'마음혁명_김형효 철학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리와 비진리 (0) | 2017.07.29 |
---|---|
택일적 사고와 이중적 사고 (0) | 2017.07.29 |
평등에 관한 명상 (0) | 2017.07.28 |
무 (0) | 2017.07.28 |
마음과 무의식의 중요성 (0) | 2017.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