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심과 일즉일체 비동시적 동시성, 중첩 이중성 황금사자상 비유 대소, 미추의 상관적 차이 비교. 맹자의 별애, 자기 혈연부터 사랑한다. 나를 중심으로 우선순위를 따지는 선택적 사고 장자의 평등론적 제물사상 7세기 신라 의상, <법성계>, "하나의 개체가 곧 일체이고, 다양이 곧 한 몸이다" 일즉일.. 마음혁명_김형효 철학산책 2017.07.29
진리와 비진리 세상에 진리와 비진리는 없는가? 생존의 문제를 풀기 위해 지성적 판단을 요구한다. 지성은 사회생활에서 생존을 위한 꾀를 인위적으로 강구한다. 이 것이 그동안 인류문명의 성격이었다. 지성이 진/위를 판별한다. 지성적 진리의 기준은 실용성, 정합성, 공정성이다. . 실용성 : 이/해 . .. 마음혁명_김형효 철학산책 2017.07.29
택일적 사고와 이중적 사고 어떻게 경제와 도덕이 모두 건강하면서 사회적으로 괴로움을 덜 받으며 살 수 있을까? 원효가 사유한 길을 다시 음미한다. 그의 사유는 철학적으로 이중부정과 이중긍정의 길을 현시한다. 이것은 개인적이든 사회적이든 택일의 사유가 지니는 분별적 지성의 한계를 지적한 것이다. 현실.. 마음혁명_김형효 철학산책 2017.07.29
평등에 관한 명상 존재론적 평등 - 의적타기적 존재양식 소유론적 평등 - 대등적 평등주의, 대등주의 소유론적 차별 - 차별주의 불평등의 부정의 정신 - 불의에 분노하는 사회정의의 요구 -> 자비의 정신 대등적 평등주의는 불평등을 부정하는 자비 정신과는 다르다. 대등적 평등주의는 강한 자아의 아상.. 마음혁명_김형효 철학산책 2017.07.28
무 경제 기술주의의 목표 : 기술적 무지와 경제적 빈곤에서 탈피. 가 갖는 철학적 문제점. . 인간중심주의를 정당화함(인간과 인간의 자아가 만물의 척도, 자연과 세상의 모든 것은 인간을 위해서 존재하고, 극단적으로는 자아를 위해서 존재해야만 가치가 있다.) . 인간중심주의는 이기주의.. 마음혁명_김형효 철학산책 2017.07.28
마음과 무의식의 중요성 인간을 이해하는 열쇠는 이성이 아니라 욕망이다. 인간은 이성적 존재가 아니라 욕망의 존재다. 의식의 이성은 욕망의 무의식을 지우지 못한다. 이성과 의식의 자각만 강조한 가치론과 당위적 도덕론을 그만 사용해야 한다. 불행히도 우리는 무의식이 정신이상자의 영역에 속한다는 무.. 마음혁명_김형효 철학산책 2017.07.28
소유에서 존재로 존재, 존재론적 사유란? 인생, 죽음, 나. 인생이 있고, 죽음이 있고, 나가 있다는 사실을 안다. 이 것들을 남들에게 소유물처럼 제시하거나 전시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이것들은 나의 소유물이 아니기 때문(비고.돈, 명예, 권력 등) -> 모든 소유는 인생의 존재를 딛고 서서, 그리고 나를 .. 마음혁명_김형효 철학산책 2017.07.28
원효의 화쟁사상 원효의 화쟁사상은 기본적으로 불법을 설명하는 사유방식이다. 또한 우주의 필연적 법칙을 일깨우는 가르침이기도 하다. 우주의 필연성은 공과 색이란 두 실이 서로 새끼를 고거나 천을 짜고 있다는 것. 불교의 상징, 만자. . 공은 눈에 보이지 않는 진여의 진리요, 색은 눈에 보이는 세속.. 마음혁명_김형효 철학산책 2017.07.28
'생각하는 사람'과 '미륵반가사유상' 로댕의 조각, 지옥 같은 세상에 대한 고통과 찌푸린 불만스러운 얼굴이 긴장한 근육과 함께 나타나 있지만, 신라의 저 사유상에는 그런 능위적 의지나 불만스런 세상에 대한 저항은 없는 것 같다. 그래서 거기에는 부조리한 세상을 모두 바꾸겠다고 두 주먹을 불끈 쥐고 목이 터져라 진군.. 마음혁명_김형효 철학산책 2017.07.27
본성을 꽃피우는 전도 종교. 밖으로의 진리에의 의지와 안으로의 권력에의 의지. 부처와 예수. "나를 의지하지 말고, 법과 마음의 등불에 의지하라' "진리가 너희를 자유롭게 하리라" "불법이라고 말하는 것은 불법이 아니다" 예수, 진리에 대해 어떤 정의도 내리지 않고 끝내 묵언함. 전투적 행동주의자들 : 진.. 마음혁명_김형효 철학산책 2017.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