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장. 언어와 마음
9장. 언어와 마음 불립문자, 교외별전 선가, 그들은 실재와 언어를 어떻게 이해한 것인가? 선사들은 언어를 무엇으로 이해하였고 언어와 실재, 언어와 존재의 관계를 어떻게 파악하였는가? 그들에게 있어 깨달음을 얻는다는 것, 청정심을 얻는다는 것, 부처가 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불교의 한 종파로서의 선종에 있어 언어가 의미하는 바가 유가나 도가에서의 언어이해와 어떻게 다른가를 밝혀보기로 한다. 그리고 다시 불교적 언어관이 현대의 사적 언어를 부정하는 언어사용론자들의 언어관과 어떤 점에서 구분되는가를 생각해보기로 한다. 그 과정을 통해 소위 비언어적인 선적 깨달음이 과연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지가 밝혀질 것이다. 2. 유가, 도가, 불교의 언어관 유가. 언어영물론적 관점, 말이나 이름이라는 것은 우리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