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Discovering the Inner Mother

백_일홍 2022. 7. 29. 18:41

Discovering the Inner Mother _  A Guide to Healing the Mother Wound and Claiming Your Personal Power

 

Bethany Webster

 

(1) 도입

굿걸, 착한 딸
내 절망의 뿌리
2013년부터 블로그를 시작함
마더 운드라는 단어, 말로 내놓는데 용기가 필요, 터부

책을 쓰게 된 동기는 트럼프 대통령 당선.
. 마더 운드가 어떻게 가부장제의 해체와 관련 있는지, 마더운드의 치유가 왜 중요한지에 관해 많은 여성들에게 가르쳐주기 위해서다.
. 우리가 집단적으로 생존하기 위해 여성이 전지구적으로 깨어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 책은 지금을 위한 책이다.

세대간 트라우마

마더운드는 가부장제를 사는 사람에게 특화된 문화적이고 가족적인 트라우마다.

마더운드는 네가지 수준에서 나타난다.
. 개인적 수준
. 문화적
. 영적.
. 지구 행성적
개인적 수준에서 치유를 시작함.

마더운드의 치유는 엄마를 비난하는 게 아니라, 세대를 통한 책임이다. 여성으로서 힘을 얻는 것이며 이 세계에 남성성과 여성성의 에너지 사이에 건강하고 새로운 균형과 조화를 창조하는 일이다.

마더운드는 여성에게 보편적인 경험이다.

가부장적인 문화의 맥락에서 마더운드는 현 세계를 지배하고 있는, 식민화와 지구 파괴에 근거하고 있는 가부장적 자본주의 문화를 말한다.

이 책을 읽는 어머니들은 딸의 입장에서 책을 읽기 바란다. 이 책은 딸의 마더운드를 치유하기 위한 것이기에.

치유과정에 뛰어들다.
. 궁극적으로 마더운드 치유는 엄마에 관한 것이 아니라,
. 미안함, 부끄러움을 느끼지 않고 자기 자신을 그리고 자신의 선물같은 자질을 받아들이는 여성에 관한 것이다.
. 감정적 고통을 끌어안고서 그 고통을 의식으로 변용시키는 능력을 확장하는 것이다.
. 가부장제에서 비롯한 고대적 부터 존재한 불균형을 회복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제 절망속에 버려진 아이라고 무의식적으로 느끼며 무의식적 고통을 주변사람에게 투사할 필요가 더 이상 없다.

우리안에 잠자고 있는, 자애로운 여성 의식과 사랑 그리고 무조건적 자애의 현존과 지지의 저장고를 체현할 수 있다.

마더운드의 치유로 우리가 얻게 되는 것은,
. 삶(생명)에 대한 감각 찾기
죽은, 트라우마, 투사 등에서 벗어나서
. 조각 조각 분할되고 분리됨 대신 통합하기
차이, 위협 대신 연결, 피드백
. triggers을 기회로 재정의 하기
. 몸으로 아는 방식을 다시 얻는다.
감각된 경험의 지혜, 자기지식
. 과로하지 않기
생산적이지 않아도 돼
. 세상을 대상화하는 데서 벗어나기
공감, 지구와 다른 생명들에 연결되 있음을 더 많이 느끼게 됨.
. 자신의 취약함을 존중하기
분노, 슬픔의 가치를 존중함.

 

 

1장. 마더운드란 무엇인가?

 

마더운드는 가부장제에 뿌리를 둔, 사회적인 조건으로, 네가지 수준에 존재한다.

1. 개인적 수준의 마더운드

마더운드는

우리에게 내면화된 제한적인 믿음과 패턴 조합인데, 이 믿음과 패턴 조합은 엄마와의 초기 역동에서 비롯된 것으로서 여러 방식으로 성인이 된 이후의 삶에 문제를 일으킨다. 일테면 우리 자신과 타인, 자신의 잠재력에 대한 견해에 영향을 미친다.

 

2.문화적 수준의 마더운드

가부장적 문화의 여러 측면에서 보이는 여성에 대한 체계적 비하는 식민화에 근거한 것으로 현 세계를 지배하고 있으며 그 결과, 역기능적 불균형을 초래한다.

 

3. 영적 수준의 마더운드

고차원의 힘과 생명 그 자체와 분리되고 소외되었다고 느낌.

 

4.행성.지구적 차원의 마더운드

지구위 생명체를 위협하도록 지구에 대해 해를 끼침.

 

마더운드는 개인(즉 딸) 수준에서 치유된다.

마더운드 치유는 엄마왜 딸을 대립시키는 게 아니라, 여성이 집단적으로 자신의 힘을 찾기 위한 첫 발을 딛는 것이다.

 

엄마가 딸을 위해 할 수 있는 최상의 일은 자기 자신의 마더운드를 치유하는 것이다. 자기 자신에 대한 연민의 능력을 키워 딸을 위해 그 연민과 감정을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장시켜야.

 

얽혀있음, 합침 -> authentic connection

딸의 임파워먼트와 자신과의 보다 건강하고 견고한 연결.

 

마더운드를 회피할 경우 그 댓가는,

마더운드는 스스로 대해, 타인과의 진정한 임파워먼트로 부터 분리를 지속시킴.

집단적 트라우마로서 미래세대에계 대물림 됨.

엄마와 딸 관계를 승산없는 권력투쟁으로 왜곡시킴.

. 나에게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게 됨.

. 실패나 불승인이 두려워 자신의 잠재능력을 결코 실현시키지 못함.

. 자아에 대한 허약한 경계와 미약한 자아감

. 가치있다고 느끼지 못하거나 우리가 진정으로 원하는 것을 창조하지 못함.

. 진리에 대해 공간을 갖거나 목소리를 낼 수 있을 만큼 안전하다고 느끼지 못함.

. 자기 삶을 풍지풍파를 일으키지 않도록 조정함.

. 자기 부정

. 자기 고유한 삶을 주장하기 전에 무의식적으로 엄마의 허락이나 승인을 기다림.

 

사회와 세상이 치루어야 할 비용.

. 여성은 스스로를 축소하며 스스로를 비난하도록 강제되며, 자신의 잠재능력을 실현할 기회를 회피함.

. 무수한 여성들의 천재성, 힘, 사랑, 선물같은 자질들을 상실함.

 

지구가 치루어야 할 비용.

지구의 오염.

(<= 내적인 정신적 오염, 에크하르트 톨레)

 

마더운드의 치유로 얻는 것들.

. 마더운드 치유없이는 개인적 발달이나 영적 작업은 피상적 수준에 그칠 것이다.

. 삶의 초기에 성립한 기초적인 패턴은 내적 고통을 야기함. 일상에서 우리가 겪는 표면적인 문제들 다수가 공통적인 핵을 갖고 있는데 그것은 엄마와 관련된 고통과 자기 자신에 대한 신념이다.

엄마와의 관계는 일차적 관계로서 이 관계 처럼 우리를 구속하거나 자유롭게 하는 관계는 없을 것.

. 마더운드 치유가 가쳐오는 혜택들.

. 자신의 감정을 잘 다루게 됨. 감정은 지혜와 정보의 원천으로 볼 수 있다.

. 자기 실현을 지원할 수 있는 건강한 자기경계를 갖는다.

. 무조건적인 사랑과 지지, 위안을 제공할, 견고한 "내적 마더"을 개발함.

. 자신의 능력을 비로소 알게 됨. 모든 게 가능할 것 같이 느끼며, 경이와 모든 선한 일에 열려있게 됌.

. 우리 내부의 선함과 접촉함

. 자신과 타인에 대한 깊은 자비심

. 괜찮다는 느낌을 갖기 위해 외부의 승인을 필요로 하지 않음.

. 자신과 엄마를 정확히 본다. 엄마의 한계를 개인의 문제로 보지 않는다.

. 엄마가 우리에게 줄 수 있었을 것들에 대해 감사하고, 줄수 없었던 것에 대해서는 동정하고 수용한다.

 

분노와 수치심 그리고 죄책감.

마더운드가 존재하는 이유는, 사회가 엄마에게 요구한 희생에 대해 그들이 가졌을 분노를 처리할 안전한 장소가 없었기 때문이다. 성인이 된 딸들은 엄마 이래로 이전 세대가 치룬 희생을 하지 않기로 한 그들의 선택이 혹시 기각될까 하는 두려움을 무의식적으로 갖고 있다. 이 두려움이 무의식적으로 자신의 아이들을 대하면서 나타난다. 보통 어린딸이 엄마의 분노의 표출 대상이 되는데, 이는 딸이 아직 모성을 위해 자신을 포기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딸은 엄마에게 자신이 살지 못한 가능성을 환기시키는 존재다. 엄마가 수용할 수 밖에 없었던 명령의 일부를 딸이 기각할 정도로 자신의 가치를 느낀다면, 그 딸은 엄마의 저변에 놓인 분노를 쉽게 촉발시킬 수 있는 존재가 됨. 

 

마더운드 치유는 당신의 엄마를 비난하는 게 아니다. 엄마에 대한 비난은 일종의 책임 회피다. 마더운드 치유는 개인적 책임을 지는 것이다. 엄마 비난의 특징은 현실에의 안주와 피해의식, 자신의 힘과 책임성을 피해 숨는 것, 처리되지 못한 본노를 다른 사람에게 투사함, 어린시절에 깔린 슬픔을 회피하는 것이다. 

 

마더운드 치유는

우리에게 여성적 힘과의 첫 만남은 엄마와의 만남인데, 터부를 깨고 엄마와의 관게에서 경험한 고통을 직면하는 일이다. 

인간 엄마로부터 원형적 엄마(의식적인 여성적 힘의 보유자)를 분리해야 한다. 이러한 여성적 에너지를 지닐 수 있도록 우리 안에 새로운 기초를 딲을 수 있기 위해, 가부장적 거짓말과 왜곡, 잘못된 구조를 해체해야 한다. 

 

마더운드의 근본적 원인은 가부장제다.

가부장제는 여성에게 축소된 느낌을 내면화하도록 해서 이러한 느낌을 수세대에 걸쳐 여성들에게 대물림했음. 

마더운드를 일으키는 가부장제의 원리들.

. 여성에 대한 남성의 우위, 혹은 지배

. 지배 권력

. 느낌을 억압하는 일을 정상적인 일로 간주함

. 느낌의 표현을 본래 유약하거나 나쁜 것으로 간주함

. 욕구를 갖고 있음에 대해 수치심을 느끼도록 함

. 휴식, 느리게 가기 등에 대해 수치심을 느끼도록 함

. 생산성 중심

. 경계의 침해

. 돈, 시간, 사랑, 에너지를 희소하다고 느끼게 함. 

. 고립감, 분리감

. 사물화

. 복종을 요구함.

. 폭력을 강력한 것으로 간주함.

. 공감 부족을 찬양함.

. 지배와 복종의 역동을 낭만화, 에로스화

. 여성적이라 인식된 것은 모두 경멸함.

. 남성을 인간의 대표로 간주함

. "White is right"라는 인종적 믿음을 가짐.

. 이성애가 정상이고 이상적이라는 믿음을 가짐

 

모성과 마더운드

모성은 모든 여성에 대한 명령 + 억압적 모성

가족에 대한 돌봄을 위해 엄마는 개인적 꿈을 버려야, 자신을 지워야 한다. 

엄마를 일차적 돌봄 제공자로 간주, 자신의 욕구를 돌보지 못하게, 모든 문제를 엄마 개인 탓으로 귀속시킴.

자연적 모성, 본능정 모성이란 허구. 

 

엄마 여성은 자신의 욕망, 필요, 꿈을 봉쇄당함 -> 분노, 우울, 절망, 이외 감정적 고통 -> 자신의 딸에게 전이함. 

그 전이 방식은 딸에 대한 감정적 방기, 딸에 대한 조작(딸에게 수치심, 죄책감, 의무감을 불러일으킴), 딸을 버림.이다.

이때 딸은 내가 무언가 잘못됐다고 해석함. 엄마의 고통에 대해 내가 책임이 있다고 이해한다. 내가 좋은 딸이되면 엄마가 행복할꺼야라고 생각함. 아이는 제한적인 인지발달단계에 있기 때문에 자기자신을 만사의 원인으로 간주하기 때문이다. 

 

가부장적 문화에서 아이를 갖기 위해 많은 것들을 희생한 엄마들은 딸이, 자신이 자신을 위해 가능하다고 생각한 꿈을 초월하거나 능가할 때 이를 딸이 자신을 거부했다고 느낄 수 있다. 

엄마는 자신의 아이에 대해 소유, 권리, 자신의 존재증명 처럼 느낄 수 있다. 이는 매우 미묘하지만 강력한 조작일 수 있다. 이러한 역동이 딸의 세대에게 딸 자신을 small(축소)하게 유지하게 만드는 원인이 된다. 그래야 엄마가 "엄마"로서의 정체성으로 자신의 존재증명과 확고함을 가질 수 있다. 

 

엄마는 자신의 심층적 분노를 자녀에게 무의식적으로 투사하는데 그 방식이 매우 미묘하다. 하지만 이 분노는 실제로 아이를 향한 것이 아니라 가부장제 문화를 향한 것이다. 가부장제 문화가 한 아이의 엄마가 되기 위해 자신이 치룬 희생과 자신의 존재를 전적으로 지우도록 요구했기 때문에. 

 

아이의 경우, 

엄마를 필요로 하는 아이는 생의 초기에 되려 엄마의 고통을 달래기 위해 자신을 희생하며, 이를 통해 만들어진 subconscous 결정은, 딸이 성인이 되기 전에는 암묵적 문제의 원인으로서 발견되지 않는다. 이것이 수면 아래 있는 이유는 모성에 대한 터부와 고정관념 때문이다.

. 엄마는 항상 (아이를) 양육하고 사랑한다.

. 엄마는 딸을 향해 화를 내거나 분노하면 안된다..

. 엄마는 딸을 최상의 친구로 간주한다. 등

항상 사랑을 해야 하는 엄마를 우선시함으로써 여성의 온전한 인간성을 박탈함.

 

여성은 온전한 인간이 되도록 허용되지 못했기에 사회는 엄마에게 충분한 존경과 지지, 보상, 자원을 부여하지 않는 행태를 정당하다고 간주한다. 

 

딸의 이중 구속.

엄마의 무의식적인 믿음을 내면화("I'm not good enough"), 엄마의 승인을 받을 것인가 아니면 자신의 고유한 역량을 키울 것인가(엄마는 이를 개인적 거부로 이해함)

엄마에게 충실하여 감정적으로 살아남을 것인가 아니면 엄마의 사랑과 승인을 상실할 것인가 

엄마에 대한 연민, 엄마를 기쁘게 하고자 하는 욕망, 엄마와의 갈등에 대한 두려움을 고려해 내가 축소되어 작은 존재로 남아있는게 안전하다고 스스로를 설득한다. 따라서 딸은 가부장제 문화에서 힘, 역량을 가질 것인가 아니면 사랑받을 것인가 중 택일을 하면서 성장한다. 

 

마더운드는 모든 여성에게 해당한다.

문화적 수준의 마더운드.

엄마는 중요한 문화적 편집자(중개자)이다.

가장 좋은 상황에서도 엄마들은 뜰을 가능한한 사회로부터의 거부 또는 수치스러움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무구한 노력을 하면서 딸에게 열등성과 유약함의 느낌을 비의도로적으로 투사한다. 최악의 상황에서는 자기 스스로 깊은 마더운드를 갖고 있는 엄마들은 자신의 딸들을 희생양으로 삼는다. 자신의 처리되지 못한 고통을 딸에게 투사하고 딸을 무시하고 학대한다. 

 

무의식적인, 인정되지 않은, 터부

무의식은 처리되지 못한 고통으로부터 우리를 보호하는 책임을 가진다. 엄마를 향한 딸의 부정적 느낌을 인정하는데 아이들은 수치심을 느낀다. 엄마의 이상화 - 엄마의 가치절하라는 양극단화는 우리가 갖고 있는 가장 근본적인 방어기제이다. 모든 엄마는 항상 사랑을 주는 사람으로 보라는 문화적 명령을 통해 엄마를 비난하는 것처럼 보일까 두려워, 엄마와의 관계에서 느끼는 고통을 성찰하는 것을 무의식적으로 피한다. 

 

엄마로 인한 고통이 내 삶에 미친 영향 전부를 인정하길 회피한다면 우리는 여전히 아이로 남는 것이다. 

엄마가 인내해온 고통을 목도해야 하는 슬픔을 느끼고, 그 결과 우리가 인내하는 자신의 고통을 처리해야 비로소 온전한 임파워먼트로 나아갈 수 있다. 고통의 포용을 통해 자기지식, (분열에서)통합, 자신감의 증가로 변용이 일어남. 

 

자신의 고통의 진실을 표현하고 필요한 지지를 받을 수 있는 안전한 장소를 만들어야 한다. 

고통이 만일 억압되어 그림자로 남는다면 조작, 경쟁, 자기증오로 나타날 것이다. 하지만 충분히 슬퍼하게 되면 사랑, 자기수용, 자유로 변용된다. 

 

마더운드는 분리와 단절감을 만드는 베일로 작용한다. 

 

모든 존재에 살아있는 원형적 집단적 가슴과 연결되고, 진정한 자비와 사랑의 전파자가 됨. 이 과정에서 마더운드 치유는 진정한 여성적 힘을 향한 시작이다. 

 

집단적 진보(진화)

 

생명의 가슴에 대한 재연결 작업

 

 

2장. 마더운드는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는가?

 비가시적.
 
완전히 공허하다고 느낀다.

발달상의 복합적인 트라우마

자아감의 균열

마더운드의 징후들.
. 걷잡을 수 없는 두려움.
. 순간적인 놀람
. 두려움, 죄책감, 자기의심, 수치심
. 완벽주의적 노력
. 자기가치의 부재
. 거부당할 것에 대한 두려움

부정, 순교, 자격(권리)

여성의 공감능력을 착취, 죄책감, 의무감, 감정돌봄, 의존 자기비난으로 왜곡됨. 

딸과 엄마간의 역기능적 그물을 끓어야 한다. 

이러한 역기능이 나타나는 다양한 방식들(46페이지)
. 엄마는 딸을 자신을 위로하는 사람으로, 처리되지 않은 감정을 버리는 곳으로 이용한다.
. 딸은 자신의 삶에서 매사에 엄마의 승인을 받기 전까지는 괜찮다는 느낌을 갖지 못한다.
. Mother finding comfort in having daughter as a “pet” who always agrees with her and conforms to her views and beliefs, and rejecting daughter if she expresses independence.

. Mother using daughter as a narcissistic tool to bring attention and praise back to herself.

. Daughter feeling overwhelmed with mother’s needs; spending an inordinate amount of energy worrying about mother’s problems and how to solve them.

. Mother feeling she must speak to daughter hourly or several times daily in order to maintain her own emotional stability.

. Mother feeling entitled to access and/or control major aspects of daughter’s life, from physical items to personal details and information.

. Mother criticizing daughter out of her own fear that she is not a good mother, and seeing daughter’s normal expression of negative emotions as a threat to her control and a sign that she’s failing as a mother.


이러한 행동을 보이는 엄마들은 자신이 갖고 있는 고통을 경감시키고 해결하지 못한 개인적 도전을 피하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비의도적으로 그러는 것이다. 이런 엄마들은 딸의 동정(공감)을 가부장적인 방식으로 이용한다.
딸이 엄마에 의한 공감의 착취로부터 치유하기 위해서는 딸들은 힘을 갖고서 독립적이고자 하는 자신의 욕망과 능력에 대해 죄책감을 느끼는 일을 거부해야 한다. 그것이 엄마로부터의 거부를 의미한다고 해도 말이다.

분명하고 건강한 경계를 긋기

딸은 엄마의 감정적 안정에 대해 책임을 질 필요가 없다.

우리는 딸로서 엄마를 치유할 힘이 없다는 사실을 직면할 수 있을 때, 죄책감을 갖지 않고 다음 단계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는 사실을 슬퍼할 수 있게 된다. 엄마가 무의식적인 박탈감과 버려짐에 대한 공포로 인해 딸을 적극적으로 조작한다는 사실은 참으로 비극이다. 또한 딸은 엄마를 향한 죄책감으로 인해 자신의 힘있는 자기인생의 첫발을 내딛지 못한다는 사실 또한 비극이다.

엄마 안에 있는 박탈된 아이는 자신의 엄마에게 결코 받지 못한 감정적 양육을 딸에게서 구하려 할지도 모른다. 이것이 바로 마더운드가 대물림되는 방식이다. 딸의 자기희생과 엄마와의 상호의존에 의해 엄마의 욕구가 채워지는 건 아니다. 엄마의 집착과 부정을 영구화할 뿐이다. 이는 딸에게도 해로운 일이다.

엄마를 치유하려는 강박.
딸들의 아이와 같은 믿음, 즉 딸로서 엄마를 치유하거나 구제할 수 있다고 믿는다. 그러면 엄마가 궁극적으로 우리가 바라던 엄마로 바뀔 것이라 믿는다. 이는 불가능한 믿음이다. 우리의 아이 시절을 이미 끝났기에, 그때로 돌아갈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사실을 슬퍼하는 것, 이것이 우리가 해방되는 길의 열쇠다. 

 

엄마의 고통으로부터 엄마를 구하려는 아이와 같은 우리의 욕망은, 우리 자신의 삶을 힘차게 주장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

 

마더운드가 핵식점인 자존감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성인이 된 후의 삶의 모든 영역에서 그 영향이 나타남. 결혼, 육아, 직업, 내 몸과의 관계 등의 영역에서. 

 

마더운드는 표면 아래에 잠재되있으면서 자존감을 제한하고 가능성에 대한 느낌을 협소하게 만들고 우리를 옴짝달싹하지 못하도록 만든다. 무의식적으로 우리를 특정한 패턴, 사고의 순환고리, 행동에 가둔다. 

 

마더운드는 단일한 핵심 원인이다. 

 

마더운드의 현상은

. 다른 사람과 비교하여 스스로를 작다고 느낀다.

. 이중구속(똑똑해라 하지만 너무 똑똑하지는 말아라, 섹시해라 그렇지만 너무 섹시하지는 말아라)

. 과로, 번아웃

. 내게 잘못이 있는 듯 느낌.

. "진짜"가 아닌 듯, 억지로 행복한 듯한 느낌.

. 외로움, 우울, 분리감

. 다른 사람을 지배할 필요를 느낌.

. 엄격함, 완벽주의

. 다른 사람과의 장기적인 관계를 회피함

. 다른 사람에 대해 과도하게 감정적 돌봄, 감정노동을 함

. 상호의존, 얽히고 엮인 관계

. 매정함, 공감력 부족

. 혼자인 느낌

. 경계선 긋기를 할 수 없는 느낌

. 중독, 우울, 식이장애 등

 

작은 소녀와 같이 가짜 자아를 만들다.

엄마를 위로하기 위해 자신의 개별성을 억압하는 법을 배운다. 자신의 개별성이 엄마에게서 거부나 버림을 받을까 두려움을 일으킨다. 아이들은 솔찍한 생각이나 자신의 느낌이나 욕망을 말하는 것이 엄마에게 불충하는 것으로 간주하게 된다. -> 아이 내면에 분열, 분리가 생김, 엄마에 대한 충성과 자신이 자신만의 분리된 존재라는 사실 사이에서 분열됨. 

 

가족 내 서로 얽힘, 상호의존, 불분명한 경계 vs 개별성, 감정적 친밀성, 진정한 연결 

 

자신의 요구를 말했을 때 유발된 가족내 긴장을 문제로 볼 수 있고, 아이는 자기가 나쁜 사람이고 잘못되었다고 개선되어야 한다는 믿음을 내면화한다. 이것이 바로 부모를 기쁘게 하는 "가짜 자아"를 창조하는 것이다.

 

굿걸과 부모가된 딸의 비극.

엄마와 어린 딸 간의 역할 역전은 딸에게 커다란 상처를 입힌다. 특히 그녀의 자기존중감, 자신감, 자기가치감에 대해. 이러한 엄마로부터 요구받는 엄마에 대한 감정적 정신적 지지에 응하기 위해 어린 딸은 그녀 자신의 발달상의 요구를 억압해야 한다. 탐험과 모색을 위한 안전한 감정적 기반의 역할을 엄마가 아이에게 해주는 것이 아니라 딸이 하게 되는 것. 

 

"만일 내가 정말로 굿 걸(즉 순종적이고 조용하며 어떠한 요구도 하지 않는)이 되면 엄마가 나중에는 나를 보고 돌봐줄 거야"라고 믿는다. 

-->딸은 성인이 된 후 이 역동을 다른 사람에게 투사함. 

 

딸은 사랑, 승인, 인정은 매우 희귀한 것이라고 믿으며 자란다. 이것들을 얻기 위해 뼈를 갂듯 노력해야 하는구나라고 믿으며 자란다. 한 사람으로서 그 자체로 인정받지 못하고 오직 어떤 기능을 수행한 결과로만 인정받을 수 있다고 믿는다. 

따라서 아이는 존재하는 것만으로도 자신을 비난할 수 있다. 

 

가부장제는 심히 여성의 권리를 박탈함에 따라 엄마가 되었을 때 승인, 인정에 굶주린 여성은 승인과 인정을 딸에게서 얻으려한다. 이러한 굶주림은 딸이 결코 채워줄 수 없는 것이다. 

 

딸은 희생을 멈춰야 한다. 왜냐하면 딸의 희생이 엄마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기 때문. 

엄마측에서 자신의 고통과 슬픔의 다른 편, 즉 변용 만이 엄마의 욕구를 충족시킬 것이다. 이는 엄마 스스로 해야할 일이다.

수치심은 엄마에게 버려졌고 이용당했다는 진실이 주는 고통으로 부터 나를 보호하는 완충제 기능일 수도. "좋은 엄마"라는 환상을 지키기위해 차라리 수치심과 자기증오를 느끼는 것이다.

정당하게 책임을 물을 때 즉 책임은 아이가 아니라 성인인 엄마에게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될 때 고통에서 놓여난다.

많은 여성들이 이 단계를 생략하고 곧장 용서와 자비로 나아가는데 이로 인해 꼼작할 수 없이 갇히게 될 수 있다. 용서란 우리가 그냥 할 수 있는게 아니다. 진정한 용서란 변용과정의 부산물로서 이 과정에서 고통이 인지되고, 처리, 수용되며 자기 지식으로 변형된다. 그때에 용서란 타인에 관한 것이 아니라 우리 자신의 고유한 온전함에 관한 것이 된다.

굿걸이라는 패턴.
. 이용당하는 느킴.
. 수행(봉사)해야 할 것 같은 느낌.
. 저변에 깔린 공허감

가부장제에서 우리는 우리의 생존이 가부장적 남성에 대한 수행(봉사)에 달려있다는 가르침을 받아옴. 그리고 엄마가 남성들의 해로운 행동들을 용인하는 것을 보아왔음.
"내가 나늘 죽이지 않으면 그들의 인정을 잃어버릴지도 몰라", "사랑받으려면 나 자신을 낮쳐야해"라는 파괴적 믿음을 내면화하도록 배운다.


엄마가 무지한 남성의 승인에 의존하는 것을 보아옴. 또한 남성의 학대를 묵묵히 인내하는 다른 여성들을 보아옴. 때론 엄마자신의 박탈감 때문에 딸인 나의 경계를 침범하거나 나를 방기하는 엄마를 참아오기도 함.

굿걸이란 패턴에서 회복하고자 할 때, 엄마에게 이용당함에 있어 나의 무의식적인 공모를 알아차리는 게 중요하다. 그리고 강력하게 나의 주권을 주장하는 것도 중요함.

이용당하는 아이
긋걸
가부장적 가치를 증명해야 함.
. 생산적, 완벽한, 기대에 부흥, 다른 사람을 좋게 보이게 만들어, 희생, 억압 등

진실된 질문은 이런 순간에 우리는 어떻게 자신을 사랑할 것인가?임.

 

3장. 마더운드의 권력 역동

엄마를 이상화함
엄마에게 딸은 베스트 프랜드라는 환상.
똑 같은 실수를 하지 않기 위해 딸에겐 삶이 고도로 긴장된 상태임.

따라서 딸은 엄마를 완벽하게 미러링할 때까지 내 의견을 점점더 적게 말하기 시작함.
=> 굿걸과 그 밑에 묻혀있는 실제 자신 사이에서 분열됨.

엄마의 투사. 엄마가 나에게 상처를 입히는 이유는 오직 내가 그럴만하니 그러는 거다.

모든 엄마와 딸은 엄마와 딸 관계에 대한 가부장제 영향 때문에 일정한 투쟁을 경험함. 이러한 가부장제 문화적 분위기로 인해 권력은 항상 작동하기 마련.

매우 권위적인 엄마 유형.
이런 엄마와의 상호소통은 불가능. 이런 엄마와의 조화로운 관계에서는 항상 일정한 자아의 상실이 포함됨. 이런 엄마에게 상호성이란 자기의 권력의 패배와 상실을 의미함.

딸에게 혼란을 일으키는 것이 "intermittent reinforcer"임. 때로는 공감적이고 사랑으로 대하고 때로는 통제하고 적대적이고 내쳐버리는 엄마의 태도. 이것으로 인해 딸은 끝나지 않는 감정의 롤러코스터를 타는 듯함. 불안정한 마음이 커질 수 밖에.

권력의 두 가지 유형.
1. 다른 이를 지배하는 권력. 현실1
불평등, 경쟁, 조작, 적대, 통제, 부정
여기서 안정감이란 누군가 보다 위에 있음을 의미함. 상호성이나 취약함에 대한 불신이 내재함.
남성이 자신의 파트너를 통제하는 방식으로 상대를 언어적으로 학대하는 관계, 이러한 권력 역동이 딸과 엄마관계에서도 존재함.

어린시절 겪은 깊은 상처 -> 느낌, 느끼는 능력을 차단해 그리고 다른 이에게 투사함.
상호성은 자신의 안전과 정체성에 대한 위협으로 경험됨. 감정, 느낌을 부정하고 현실을 왜곡, 혼동하며 다른 사람을 가스라이팅함.

2. 개인적 권력(힘),현실2
평등, 파트너십, 상호성, 선의, 친밀함, 승인에서 나오는 권력. 이 현실에서 개인적 권력은 자신의 느낌과의 연결에서 나오며, 생명 자체와의 어떤 수준의 연결에서 나온다. 다른 이들과 현실을 공유한다. 서로가 서로를 성장, 지지, 고양시킴.

사람이 현실1이냐 현실2를 개발하는가는 그 사람의 어린시절에 공감적인 어른의 돌봄이 있었는가에 달려있다. 자신을 안정적으로 사랑해주는 어른. 고통스러운 순간 아이는 공감해주는 어른과 함께 있음으로 자신과의 연결을 유지하며 도전적인 감정들을 참아낼 수 있다는 믿음을 발전시킬 수 있다. 이후 성인이 되면 성인으로서 개인적 권력감을 느끼게 된다.

헌실1 상황에서 경험한 트라우마적 감정은 감정적 지지를 받지 못할 경우 생존하기 위한 방편으로서 무의식으로 밀어넣음. 그리고 지배하는 권력을 방어기제로 채탁한다.

엄마의 딸 조작.
이전 세대의 여성이 자신의 고통에 대해 책임을 지고, 현 세대 여성이 자신의 것이 아닌 상처를 갖고 가길 거부한다면 가부장적 여성 억압은 점점 그 기반을 상실할 것이다.

자신에게 솔찍하고 엄마와의 경계긋기를 하기 위해 소외의 위험은 감수해야 한다.

엄마가 자신의 고통이 촉발될 때 보이는 반응들.
"mother tantrums"는
엄마 안에 있는 치유되지 않은 아이가 처리되지 않은 고통을 딸에게 분명하게 투사할 때임. 이는 자신을 위협하지 말고 조용히 있으라는 무언의 명령을 딸이 따르지 않을 때 일어나는 반응임. 딸이 자신의 진정한 자아를 충분히 표현함으로써, 그녀의 역할(엄마에게 봉사하고 고분고분한)을 넘어섰을 때 또는 둘간의 관계역동을 바꾸려할 때.

엄마의 조작을 식별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엄마와의 상혹작용하는 중에 네 몸은 어떻게 느끼는가를 보는 것.

딸들이 갖고 있는 문제적인 믿음.
. 엄마가 나에게 생명을 주었다. 나 라는 존재는 엄마 덕분이다. 이 믿음은 어마 어마한 댓가를 치룰 고통스런 환상이다. 왜냐하면 이 것이 자기의심 혹은 죄책감의 원인이기 때문. 그리고 자기가 바라는 바를 철회하는 타당한 이유, 논리, 명분이 되기 때문.

아이는 엄마의 소유가 아님. 부채라는 환상. -> 부채의식
이것으로 인해 여성은 대대로 꼼작하지 못하고 갇힘. 모성이란 일을 엄마의 세계로 고립시키고, 규범적인 "엄마의 사랑"으로서 건강하지 않은 얽힘을 초래함. 이럴경우 엄마에게 아이는 삶의 유일한 이유가 됨.

어른으로서 엄마는 필요한 자원을 다른 어른이나 기관, 공동체에게서 얻어야 함.
엄마의 안녕과 행복은 아이의 책임이 아니다.
엄마를 고립시킴으로써. 아이에게 짐을 지도록함.

엄마의 고통이 대물림되는 주요 원천 두 가지.
1.엄마 가족 안에서 경험한 트라우마나 학대의 정도
2. 문화적 마더운드

아이가 자신이 엄마 덕분이다라고 느끼도록 하는 요소들.
. 자연적인 충성심
. 엄마의 고통을 보아옴.
. 엄마가 그런 신념을 갖고 있어 이를 강화함.
. 엄마가 다른 지원 자원을 갖지 못함

마더 치유을 위해,
. 전문가의 지원(관계적 정신치료)
. 경계긋기
. 급진적인 자기돌봄을 수행.
. 스스로에게 슬픔을 허락하기.

덕분이다, 빚지고 있다는 느낌은 존경에 관한 것이 아니라 통제에 관한 것임. 엄마가 자기 자식을 소유로 생각한다는 단서들(80 page)
I owe my mother 내 존재는 엄마 덕분이다. 라는 믿음 아래 많은 것들이 허용된다. 감점적 학대, 방기, 침묵, 신체적 학대. 기타의 트라우마 등

이러한 역동을 먹고 사는 감정적으로 박탈된 엄마는 자기 딸의 생명력을 훔쳐 그것이 자신 것인양 먹고 산다.

가부장적 마음을 가진 엄마가 딸에게 보내는 암묵적 메세지들(80 page)

진정한, 활력있는 딸의 자아를 경험하면서 이것이 엄마 자신의 자아 상실에 관한 심층적인 슬픔을 촉발시킬 수도 있음. 만일 엄마가 이 슬픔을 충분히 느끼고 처리할 의지가 없다면, 분노, 조작, 경쟁, 질투, 회피로 반응할 것이다.

엄마가 느끼는 박탈감은 딸이 무엇을 하든 해결할 수 없다. 엄마만이 필요한 행동을 취할 수 있을뿐.

엄마의 당신에 대한 거부, 그럼에도 불구하고 살아갈 수 있다. 자기거부를 치유하기 위해 진짜 내가 되는 것과 엄마의 상실 사이의 연결을 끓고 새로운 연결을 만들어야 한다. 즉 진짜 너로 존재하기와 안전하고 사랑받는 건강한 감정적 분리라는 새로운 연결.

의무는 진정한 연결이 아니다.

엄마에게 빚을 지고 있다라는 환상을 넘어서면 완전히 새로운 세계가 있다. 네 삶은 네 것이다. 네 욕구와 느낌은 부끄러운 것이 아니라 끌어안아야 할 것이다.

엄마에 대한 공감이 딸을 꼼작 못하게 할 때.
엄마가 갖고 있는 가부장적인 믿음의 영향은 특히 딸의 발달과 개인화 과정에 해롭다. 엄마가 자신의 고통을 부정하는 것이 마더운드를 온전시키는 원인임. 아들 보다는 딸이, 엄마를 자신의 꿈을 이루지 못한 가부장제의 피해자로 보기가 쉽다. 딸은 엄마가 겪은 곤경에 대한 딸의 공감과 연마으로 인해 엄마의 고통을 자신의 것으로 흡수하기 쉽다. 그러면 해로운 얽힘이 초래됨.

엄마의 건강한 자기사랑 모델.
엄마가 자신을 사랑하고 있어야 딸에게도 사랑을 줄 수 있어.

엄마는 딸에 의해 자신의 고통의 느낌이 촉발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가부장적 굴레(여자는 똑똑해야 하지만 너무 똑똑해서는 안된다...)를 영구화시킨다.
이는 딸의 희생을 댓가로 자신의 감정적인 자기보존을 하려는 무의식적 형태임.

독립적이지 않고 힘없는 딸은 엄마 자신의 불행에 대한 완벽한 항체다. 왜냐하면 이러한 딸을 통해 엄마는 자기성장과 치유라는 어러운 작업을 하지 않고도 자신이 개인적 권력,힘을 갖고 있다는 환상을 유지시켜주니까.

엄마가 부리는 가부장적인 권력의 예.(86 page)
. Daughter is used as her emotional dumping ground.
. Mother is neglectful but uses daughter as narcissistic tool to bring her mother attention. . . . .
. Mother has no use for daughter if she doesn’t conform to her mother’s views. It’s her way or the highway.
. Mother tantrums: overt hostility, bullying, explosive rages, storming off, physical violence. . .Momipulation: cold withdrawal, competition, jealousy, triangulating daughter against other family members, thinly veiled threats
or put-downs, criticism veiled as innocent feedback, sarcastic humor, etc. (Note: All these dynamics could be played out with a son as well. And they could also be features of mental illness in the mother.)

여기 사례들은 모두 하나와 연관되는데, 즉 권력의 통제와 획득에 관한 것임. 이전에 권력을 잃은 엄마가 다른 방식으로 권력.힘을 얻으려는 것. 엄마에게 가장 쉬운 투사의 목표가 딸임. 흡혈귀 같은 관계, 딸은 위약하고 엄마는 강하다고 느낌.

가부장제는 인간이 가진 주요한 기능, 즉 우리의 모든 느낌, 감정의 진실을 느끼는 기능이 작동하지 못하도록 함.

수치심은 느낌이란 본래 유약한 것으로 억압해야 한다라는 가부장적 신념 때문에 생긴다.

치유작업은 우리의 고통을 충분히 활성화시켜 태우는 과정이다.
. 내 상처를 owing,
. 내 고통을 느끼고
. 끝날 때까지 슬퍼하며
. 마더운드의 에너지가 지혜, 사랑, 힘.권력으로 변용됨.

이를 위해 건강한 감정적 거리, 지지, 자원, decoupling이 필요함. 엄마 속에 있는 가부장제에 대해 아니오라고 말해야 한다.

 

4장. 마더운드가 지속되는 이유

저자가 겪은 마더운드의 징후들.
불안이 규칙적으로 공격해옴
가짜 자아, 굿걸, 순종적인 돌봄제공자로 살기에 지쳐. 진짜 나로 살고 싶어.

여성성 중심의 영성에 대해 공부함. 그러면서 페미니즘을 만남.

마더운드는 가부장제의 산물이므로 문화적 요인을 먼저 살펴야.

부정, 강함, 느낌을 경멸함.
강정과 느낌은 말하지 않고 있으면 없어진다는 집단적인 신념.

"Object permanence"라는 문화적 발달단계에 도달하지 못함. 우리 감정에 대해 그리고 그것이 다른 사람에게 불가피하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책임을 진다는 의미다.

강한 감정에 대한 두려움이 널리 존재하는데 왜냐하면 건강하게 이 감정을 처리하는 모델이 거의 없기 때문. 수용하는데 실패한 것은 투사될 것이다.

수치심은 가부장제에 대한 주된 문화적 강화제다. 왜냐하면 수치심은 희생자를 마비시키기때문. 수치심으로 인해 희생자, 피해자를 순종적으로 만들고 통제하기 쉬워짐.

여성의 열등함이라는 거짓말.
여성적인 것은 모두 자연적인 결함이 있는 것이다.
이것은 자연적 질서다. 이 거짓말은 마더운드 관계를 짜는 매듭의 하나. 여성을 집단적으로 불구로 만듬.

이 거짓말이 딸들을 갈등상황에 처하게 만듬.
개인적 힘이란 본래 희귀한 것이라고. 가부장제는
"바랑직한 여성"의 기준을 만들어냄. 여성에게 적대적인 세상에서 딸을 보호하려는 엄마의 무의식적 노력으로서 이러한 기준을 수용하는 첫번째 사람이 바로 엄마다.

딸이 느끼는 분노
마땅히 갖게 되는 불공평하다는 느낌과 해결되지 않은 분노, 이에 대한 이유를 설명하지 않고 고통을 처리하려 노력하지 않을 경우, 이 분노는 정체되어 다른 사람을 보면서 느끼는 즐거움쪽으로 방향을 바꾼다.

고통의 진짜 원천은 인식되지 못하고 억압자는 보호받으며, 피억압자는 서로를 지속적으로 억압하는 비극. 시간이 지나 고통을 참는 능력과 이러한 능력의 기능부전이 어떤 사람의 정체성이 된다.

새로운 세대가 변화을 시도하려면 기성세대는 이러한 변화의 욕망, 시도를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하게 된다.

아이를 부끄러워하는 엄마를 이상화하다.
부정적이라 간주되는 감정들을 갖는 것에 대해 우리는 수치심을 느낀다. 이러한 부정적 강정을 엄마에게도 느낄수 있는데, 이는 커다란 터부이다.

엄마는 치커세우고 아이는 깍아내리기.96페이지
“Don’t blame your mother.”
“Your mother gave you life.”
“How dare you question your mother.”
“Your mother is trying her best.”
“You only have one mother.”

여성은 감정노동자라는 고정관념.
가부장제는 감정을 일시적, 유약한 것, 수치스러운 것으로 간주할 뿐 아니라 감정영역 전체를 여성에게 투사함.

우리문화는, 엄마와의 관계를 고찰하는 딸을 단순히 엄마비난하는 것으로 일축한다. 이것이 엄마의 치켜세워진 지위를 보호하는 듯 보이지만 사실은 파괴적인 가부장제 규범을 대물림하는 엄마의 능력을 보호하고, 엄마자신이 갖고 있는 고통이 진짜로 얼마나 커다란지에 대해 무지하도록 만듬으로써 그녀를 착취하는 것이다.

희귀성의 역동.
엄마와 딸사이에 충분한 사랑, 공각, 힘이 있지 않다는 느낌. 이는 비교, 경쟁, 질투로 나타난다. 딸은 엄마의 사랑이냐 아니면 내 자신의 능력이냐 이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엄마의 사랑을 선택한 딸은 박탈감과 분노를 갖게 되고 이를 자기 딸에게도 대물림한다.

우리는 감정적으로 과도한 기능 즉 감정노동을 하고 있음을 알아야 하고 이를 자제해야 한다. 문제는 남성들은 감정노동을 가치없는 것으로 보도록, 그리고 여성의 일로 보도록 배운다는 것이다.

우리가 댓가로 받은 빵부스러기가 우리가 얻을 수 있는 최상의 것이다, 우리가 감정노동과 같은 부담을 기꺼이 인내하려는 의지는 이러한 희구성 의식에 근거한다.

마더운드 치유는 희귀함에서 풍부함으로 근본적으로 이동하는 것. 우리가 할 수 있는 강력한 저항은 엄마를 위한 감정노동을 내려놓는 것이다. 엄마가 추구하는 것은 어디에서든 얻을 수 없는 것이다. 그녀 내부에서만 가능한 것이다. 죄책감에 빠지지 마라.

네가 감정돌봄자로서 역할을 더 이상하지 않을 경우 엄마가 너와 상호작용을 거절한다면, 그동안 너는 사랑받은 게 아니라 이용당한 것이다.

다른 사람을 위해 감정노동을 하거나 요구하는 일을 거절한다면 이는 고대로 부터 있어온 불균형을 시정하는 일이 될 것. 이 불균형이 많은 인간의 고통에 대해 책임이 있다.

새로운 모계를 세우다.
이러한 불균형을 바로 잡는 개척자.
여성이 힘을 갖는 새로운 시대라는 퍼즐에서 강력한 피스가 될 것이다.

생리적 구성.
"Inner mothering"은 마더운드 치유의 핵심.
가부장제의 가장 내밀한 것은 엄마를 통해 전달된다.
. 엄마는 딸을 해로움으로 부터 안전히 지키기 가부장적 메시지를 딸에게 전하기 때문.
. 엄마로부터 받은 가부장적 메세지는 사회문화적 메세지보다 내밀하고 더 치명적임. 엄마는 딸이 자신의 생존을 위해 결속해야 하는 존재이기 때문.

가부장제는 엄마와 딸 사이 모든 기능부전의 역동을 통해 작동하는데, 가부장제의 씨실과 날실은 바로 사랑을 주는 대신 복종을 요구하는 것이다.

마더운드의 스펙트럼.
방기 ㅡㅡ 침범

교란,
여성성의 물타기에서 여성적 개인화로 옮겨 가기.
스스로를 흐리멍텅하게 희석시키길 거부하라.

 

5장. 마더 갭 mother gap

내가 엄마에게 필요한 것과 엄마로 부터 받은 것의 격차. 이러한 격차를 처리하지 않으면, 무의식적으로 마더링에 대한 욕구를 다른 사람, 사물, 상황, 사건 등에 투사할 수 있다. 그래서 관계, 일, 자기개념에서 문제를 일으키기도 함.

실제로 아이가 엄마에게 필요한 것.
발달적 욕구들, 필요들

가부장제와, 감정적 학대와 무관심이라는 집단적 유산.
이전 세대 부모의 전략은 훈육과 복종에 초점을 둠.
구타, 체벌이 규범.
아이의 감정적 욕구와 발달은 고려하지 않아.
감정적 안전함.
감정의 자연스런 표현에 대해 처벌, 때리거나 모욕을 주거나 무시함. 그러면 아이는 감정을 닫아버린다.

가부잠적 부모.
강점적으로 미성숙한 부모들.

마더갭에 대한 반응으로서 아이는 가짜 자아를 형성함. 가짜 자아는 어린시절 어느 발달단계의 거부에 대한 보상 방법으로서 발달하게 됨. 이는 자신을 바깥 세상 에서 수용가능하도록 바꾸려는 무의식적인 시도이다.

문제는 어른이 되어 자신의
진짜 자아를 이 가짜 자아와 혼동하여, 타인으로 부터 승인받기를 끝내버린다는 점이다. 심층에서 진짜 자아는 진정으로 사랑받기를 원하고 있음에도 말이다.

우리의 취약함과 수치심을 가리기 위해 쓴 가면이 바로 이 가짜자아다. 이에 텅빔, 우울함에 이른다.

어른으로 성장하면서 진짜자아와 가짜자아 사이에 긴장이 증가한다.

진짜 자아에로 접근하는 일은 사회문화와 가족으로부터 내면화한 제한적인 믿음들과 패턴들을 해체하는 과정이다.

마더갭을 다루는 세가지 부분
1.정신적 명료함
감정에 지배당하지 않고 강정을 처리하도록 장치를 갖추는 일. 당신과 엄마사이의 패턴과 역동을 분명히 표현함.

2.감정 처리하기
아이로서 느꼈던 오리지널 고통과 접촉하기

3. 몸과 통합하기
몸으로 돌아와 현재에 머물기. 이것은 스스로를 마더링.돌보는 중요한 방식임.

역할, 환상. 가면들: 우리는 어떻게 마더 갭을 보상하는가
반복되는 행동이나 역동들
감정적 학대나 방기에 대항한 생존 메커니즘. 이 메커니즘은 변형될 수 있다.

가족 내 역할.
이러한 역할이 우리의 고통을 은폐하는 기능을 할 수 있어. 대부분의 강박적이고 방어적이고 감점적으로 충천된 행동 패턴들은 어린 시절에 대한 반응으로서 창출된 것이다.

오리지널 고통에 대한 작업에는
지지와 지원이 필수적임.
. 지지집단.
. 워크샵
. 사랑하는 관계
. 정기적으로 고독과 성찰의 시간 갖기

 

6장. 변화가 필요하다는 신호들

나는 세상을 위해 보다 커다란 일에 전념하고 싶었으나 그것이 무엇인지 몰랐다.
그러면서 마더링, 엄마의 돌봄.사랑과 승인을 갈망하고 있었다.
권위있는 인물을 이상화하고 있었다.
바깥 세계의 그 무엇도 나의 공허함을 채울 수 없었고 그것은 내 안으로 부터 나와야 하는 것이었음.

마더운드의 신호들.
왜 마더운드를 알아채기 어려운가? 알아차린 후에는 왜 그것에 저항하는가?

마더운드의 징후들.
. 표면적으로 아래의 경험이 마더운드와 무관한 듯 보이며, 여전히 엄마와는 조화로운 관계에 있다고 느낀다.

. Avoidance of difficult emotions. The need to stay positive at all times.

Numbing out (through substances, social media, shopping, etc.).

Intense emotions out of proportion with the current situation.

Repeating patterns that don’t ever feel like they get resolved.

Feeling suddenly like a little girl, powerless, or ridden with panic.

Large contrast between the outer life you portray and the reality of your inner life.

Extremes of any kind; for example, cycles of bingeing and deprivation (whether on
food, exercise, substances, diets, sex, etc.).

Fears of abandonment (in friendships, romantic relationships, as a parent).

Fears of invasion (the need to keep people at a distance).

Having a hard time with endings, fear of saying goodbye.

Fears of being destabilized by emotions if you allow yourself to feel them.

Self-sabotage when you get close to a breakthrough.

Repeating mental loops of negative self-talk.

Feeling selfish for putting yourself first.

Never feeling good enough.

Constantly comparing yourself to others.

People-pleasing.

Approval-seeking; any kind of rejection feels crushing and destabilizing.

Addictions (shopping, substances, internet, etc.).

Depression (feeling low, hopeless, empty).

Anxiety.

Eating disorders (some level of conflict surrounding food, body, and image).

Shame about your sexuality.

Equating being a “good person” with putting yourself last.

People constantly pushing your boundaries or disrespecting your time.

Continually attracting the same type of partner, friend, who ends up mistreating you.

Feeling like you’re being a good person based on your choice to endure poor treatment from other people.

Some level of obsession or fixation: “THIS is the thing that’s going to make everything OK!”

Playing the role of the “female peacekeeper,” one who mediates and prevents conflicts, for whom the absence of conflict is paramount.

Analysis paralysis when you need to take action.

마더운드와 분명히 연관된 징후들.
Fear of surpassing your mother: This is a common fear that if you go beyond what your mother has done with her life (what I call the “Maternal Horizon”), then your relationship will somehow be
irrevocably damaged. It seems safer to minimize your ambitions out of loyalty and to preserve the harmony of the relationship.

Feeling low after visits with your mother: This is a sign that toxic dynamics are playing out that you’re not yet conscious of.

Feeling the need to please your mother, but it never feels good enough: Your mother feels unpleasable but there’s a sense that in the future, you’ll eventually “get it right.” Hope springs eternal.

Self-attenuating around your mother: Staying small to not offend, threaten, or upset her. This can manifest as not expressing your own opinions around her and just agreeing with her to avoid conflict.

Feeling anger toward your mother but not doing anything about it. Moving far away from your mother as a means to cope.

Feeling like “it will be easier after she’s dead” or “I can do what I want once she’s passed away.”

Putting excessive emotional labor into the relationship: You feel exhausted by your mother’s needs but also feel it would be a betrayal to speak up about your own limits and boundaries. A sense that being honest about your own feelings would end the relationship.

Fear of feeling like an “ungrateful daughter” if you acknowledge painful feelings toward your mother.

Your mother seems helpless
and constantly in need of support.

Avoidance of your mother.

Your mother doesn’t reach out to you unless she needs something.

Your mother gossips or has an excessive focus on people she doesn’t know very well.

Feeling responsible for your mother’s well-being. If she’s struggling financially or in relationships, it feels like your problem to solve.

Your mother tells you that you’re her best friend, favorite child, or the one she loves best, or the opposite: you’re never good enough.

Criticism, mocking, or sarcasm is common from your mother.

Your feelings or experiences are minimized, devalued, or laughed at.

The expression of your feelings or needs or opinions is met with cold hostility, withdrawal, bitterness, or jealousy.

You have a sense your mother is jealous of you.

You have a sense that there will be some kind of “payback” if you stray outside your role as the “dutiful daughter.”

You have a sense that your mother is role focused, meaning her role as your mother is a weapon she can wield over you if you don’t act or speak as she wants.

Your mother communicates through “emotional contagion”: she keeps people guessing and walking on eggshells around her instead of communicating respectfully and directly.

Your mother is unpredictable: you don’t know from one day to the next how her mood will be, and this puts you constantly on edge.

You find yourself “romanticizing” your mother’s bad behavior as “That’s just the way she is.”

마더운드의 기제들
늘상 겪는 경험과 패턴들이 있는데, 왜 일어나는지 알지 못함.
. 촉발자 혹은 감정적 플래시백
. 부정적인 내적인 이야기. 아주 강한 내적인 비판자의 목소리는 엄마의 말을 내면화한 것임
. Exhaustion and Depletion:Not just physical exhaustion, but a deep emotional exhaustion.
. The Three F’s: Fight, Flight, or Freeze:These are responses that have a strong physiological component, such as heart beating fast, sweaty palms.
. Sense of Overwhelm: Everything feels “too much” and there’s not enough time or space to rest and recover from the “hustle” of life.

. Sense of Burden:Feeling like it’s all up to you and you’re the only one who can get it all done, which keeps your life feeling narrow and limited.

. Sense of Bondage: Feeling trapped by your circumstances and/or relationships and that nothing can get you out of it.

“Striving to Survive”:A sense that mental hypervigilance is necessary to be safe and in control of your life. A feeling that if you truly relax, something bad could happen.

자기방해 self sabotage는 마더운드와 밀접히 연관있음.
목표나 욕망을 갖고 있을 때, 스스로 그것을 충족시킬 수 없도록 방해물을 무의식적으로 만든다는 것.

어떤 여성에게는 커지고 가시적이며 힘을 갖는 일이 그녀의 엄마에 대한 배신이라고 무의식적으로 느낄 수 있다, 그래서 이런 무의식적 죄책감을 덜기 위해 가기 방해를 선택함.

자기방해는 엄마로 부터 거부당하거나 버림받지 않기 위한 생존기제로서 작용할 수도 있어. 그것은 가부장제 문화에 의해 강화됨.

마더운드의 신호들, 징후들, 역동에 관해 학습하는 일이 자신을 치유하고 변화하는데 필요한 내적인 안전함을 만들고 기르는데 열쇠이며 첫째로 할 일이다.

 

 

7장. 모계의 파열과 실재가 되는데 따르는 비용

엄마와 떨어져 뉴욕에 살기 시작한 첫해에 전에는 보지못한 엄마의 특성을 관찰하기 싲가함.
-> 내가 얼마나 엄마를 이상회했던가
나는 아직 아이로서 나를 안전하게 해주는 긍정적 서사를 깨뜨릴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음. 이 균열은 내 여행의 불가피한 부분임을 알게 되었지만 말이다.

가족과의 관계(고통스럽고 해로운) - 내 삶의 다른 영역에서 치료자인 니콜을 모델로 삼아 내가 세운 새로운 기준들 간에 대조가 점점 더 커짐.
니콜은 내 모든 성공과 자기 임파워먼트, 자기가치화를 축하해줌, 왜냐하면 그녀의 행복과 분리된 내 행복을 기뼈했기 때문.

뉴욕에서 알바를 하다 안정된 직장을 구함.
엄마와의 관계의 해로운 성격에 대한 명확히 알게됨.
"you are just like me, so you are going to be just fine" 직장을 얻은 내 성공에 대한 엄마의 커멘트.
이 말은 분리된 한 인간으로서 내 인생을 비가시화하는 느낌을 주는 말. 나를 분노하게 만듬.
이에 대해 엄마에게 솔찍한 심정을 말함.
엄마의 반응:
1.사과 이메일
2.방어적 비난조, 딸인 나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3. 문책당하는 느낌이며, 얼마나 나를 사랑하느지 말함.
나는 엄마가 느꼇을 슬픔에 관해 공감하기 - 내 인식과 느낌에 대한 단호한 권리 사이에서 균형을 유지하려 애씀. 죄책감이나 침묵으로 후퇴하지 않으려 노력함.
4. 엄마는 분노를 표현, 내가 이제까지 실패한 것들을 상기시킴.
5. 그녀의 분노는 점점 더 커짐.
나는 "엄마의 분노에는 '엄마'가 없다. 어떠한 책임도 지려는 의지가 없다. 내 입장을 이해하려는 어떠한 호기심과 관심도 갖고 있지 않구나, 상호성에 대한 욕구도 없구나, 나와 죽을 때까지 내가 죽을 때까지 싸우는 것처럼 내게 총구를 들이됬다고 생각함.
6. 마지막 메일 "나에겐 딸이 없다, 네가 잘못되었다, 너는 이제 남이다"
나에게 최악은 무기력감이 드는 것. 내 선의와 노력이 아무런 소용이 없구나.
니콜과 데이비드의 안전한 지지를 받았고,
일주일 1회 상담을 받음.
이 고통을 의식적으로 경험하고 싶어 내가 느끼고 있는 것과 가능하면 현존하려고 노력함.
7. 엄마의 이메일에 답장을 하지 않자, 엄마는 내가 쓴 저널의 기사를 모두 읽었다고 하며, 아파트로 찾아 온다고 협박함.
8. 내 치료사 니콜을 비난함, 그가 나를 세뇌시켰다고, 나를 니콜에게 조정당하는 희생자로 보며 자신을 나에 대해 걱정하는 엄마로 여기고 있음.

뒤 돌오보면 이 과정은 내 성장이 어떻게 엄마와의 해로운 관계역동을 깰 필요가 있는지를 보여주는, 모계의 파열 과정이었음.

이 파열이 보다 건강한 수준의 연결로 이를 수 있지만, 심하게 역기능적인 가족일 경우 영구적인 깨짐일 수도 있다.

가족체계란 딸의 임파워먼트한 버전을 수용할 수 없을지도 모른다.

나는 엄마가 그녀의 심리적 동기와 의도를 완벽히 의식하지 못한다고 믿는다. 우리 엄마 모계의 규칙은 "엄마의 고통을 내 것인양 흡수해라 그러면 언젠가는 내 딸도 너를 위해 똑같이 할 것이다" 이는 무언의 계약이다.

엄마의 극단적 행동은 내 모계 안의 해결되지 않은 오래된 마더운드로부터 왔다는 사실을 알게됨.

엄마-딸 관계에서 딸에게 가장 힘든 경험은 엄마가 무의식적으로 당신 자신의 작아짐에 온 정신을 쏟는다는 사실을 아는 것이다. 이러한 곤경에 처한 딸에게, 자신을 낳은 엄마가 엄자 자신의 상처로 인해 딸의 임파워먼트를 바로 엄마 자신의 상실로 간주한다는 점을 아는 것, 이것은 정말로 괴로운 일이다.

궁극적으로 이것은 개인적 비극이 아니라 해결되지 않은 세대간 트라우마의 진정한 비극이며, 가부장제 문화가 여성에게 더 작아저랴라고 말하는 방식이다.

진실로 존재하기, 그 자체로 사랑받길, 온전한 진실성, 이것들은 인간의 욕구이다.

진짜로 존재하고자 하는 열망과 엄마에 대한 열망.
가부장제에서 길려진 딸들의 딜레마.
진정한 자아 - 엄마 되기 간의 갈등, 이 중 하나의 택일해야 하는, 이유는 엄마가 가부장적 믿음을 내면화해서 자신과의 관계에서 조화를 이룰 존건으로서 딸에게 그것을 따르라고 기대할 정도록 딸들의 임파워먼트를 제한받기 때문.

참자아가 되기위한 댓가는 종종 모계의 파열을 포함한다.

우리는 엄마를 치유할 수 없으며, 우리를 충분히 볼 수 있도록 만들 수도 없다. 치유를 불러오는 것은 슬퍼하기이다. 우리는 자신과 모계에 대해 슬퍼해야 한다. 이러한 슬픔이 믿을 수 없을 만큼 자유를 가져다 준다.

슬픔의 물결과 함께 할 때마다 가족에게 수용되기 위해 내가 버려야 했던 나 자신의 일부와 재결합할 수 있다.

모계내 가부장적 패턴에 파열을 낼 때 표면적인 평화를 유지하기 위해 우리가 공모하지 않을 때, 모계를 실제로 치유한다는 점은 역설이다.

우리는 가부장적 규범에 대한 복종으로부터 우리의 가치를 분리함으로써 진정한 개인이 되어야 한다.
. 전통적으로 여성은 다른 이의 고통을 돌봐야, 감정적 돌봄자라야 한다는 가르침을 받음. 이러한 의무와 기능에서 이탈했을 때 죄책감을 느끼도록 가르침 받음.
. 이 맥락에서 죄책감은 양심과 관련된 것이 아니라 통제에 관한 것이다. 이 죄책감에 진정한 원인은 없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 감정적 돌봄자라는 역할은 우리의 진정한 역할이 결코 아니다. 억압의 유산일 뿐이다. 따라서 죄채감이 우리를 통제하도록 허용해서는 안됨.

가부장제는 엄마가 딸이 자신의 인생을 시작할 수 있도록 돕는 능력을 크게 제한한다. 왜냐하면 엄마가 그녀 고유한 인생을 박탈당했기 때문에.
그 결과,
딸은 자기방해
아들은 여성혐오
어머니 지구에 대한 경멸을 셋업한다.

"인생의 새로운 시작을 안내하는자"로서의 엄마의 역할.
엄마와 딸의 건강한 분리과정을 가부장제 문화에서 크게 위축됨. 마더운드를 슬퍼하길 계속 연기하도록 함. 엄마의 사랑과 승인이란 말라버린 우물로 계속 돌아감으로써.

우리 엄마는 그녀 자신이 결코 받아보지 않은 이 역할을 우리에게 해 주지 못한다는 사실을 슬퍼해야 하며 의식적으로 자신의 인생시작을 착수해야 한다.

파열은 가부장적 모계로부터 분리하려는 진보적 충동의 신호이다. 자신의 고유한 삶을 시작하려는, 엄마와의 무의식적인 얽힘을 깨려는 진보적인 충동이다.

엄마에 대한 갈망을 위한 안전한 공간 만들기.
당신의 엄마는 이 갈망을 채워줄 수 없다는 사실을 직면하고 슬퍼하는 것이 중요하다. 당신의 갈망은 신성하고 소중히 대해야 한다. 슬퍼할 수 잇는 공간을 허용하는 것은 스스로에게 좋은 엄마가 되는데 있어 중요한 부분이다.

파열적인 진실 말하기. 이것이 우리의 힘이다. 우리는 자신이 관찰한 것과 자신의 직관을 불신하도록 가르침 받았다.

두 가지 영역에서 결별을 위한 수행이 필요함.
1. 어떤 댓가를 치르더라도 "평화"를

 

'2022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는 피해호소인이 아닙니다  (0) 2022.07.29
정원의 쓸모  (0) 2022.07.29
적을 수록 풍요롭다  (0) 2022.07.29
아인슈타인의 우주적 종교와 불교  (0) 2022.07.29
깨달음의 심리학  (0) 2022.0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