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한스 요나스, 생명의 원리 12

생명의 원리_2장 지각, 인과성 및 목적론

제2장 지각, 인과성 및 목적론 우리는 제1장에서 정령론으로부터의 극단적인 후퇴, 다시 말해서 이원론적인 분열 이후에 남아 있는 세계가 우리에게 이 세계의 부분들을 연결할 수 있는 어떤 설득력 있는 연결점의 여지를 주지 않기 때문에, 그리고 이로 말미암아 활성화하는 것이자 전체로서의 자연에 대한 어떠한 개념도 얻을 수 없다는 사실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 상황 속에서는 신체를 인지적으로 kognitiv 부정하는 것이 복수를 하게 되는데 어쨌든, 우리는 어떻게 이 상황이 인간동형론을 금지한 결과 발생하는 최초의 희생물을 만들어 내는가를 알아차리게 되었다. 그 최초의 희생물은 존재론적으로는 자연에서 최종 원인을 제거하는 형태로 표현되고 또한 그 이후 인식론적으로는 흄과 칸트의 인과성 문제에서 탐구대상이었던 활..

생명의 원리_1장 존재의 이론에 있어서의 생명과 신체의 문제

1장 존재의 이론에 있어서의 생명과 신체의 문제 1 범생명력론과 죽음의 문제 인간이 존재를 탐구하던 시초에 생명은 어디에나 있었다. 존재는 살아 있는 생명존재나 다름없이 이해되었다. 은 생명을 그렇게 이해하는 단계에서 가장 널리 퍼져 있던 이론이었고, 은 이보다 후에 나타나는 개념이다. 은 현실세계 전체에 가득 넘쳐 있었으며 곳곳에 자리하고 있었다. 당시의 인간들은 , 즉 실제로 영혼이 없는 질료를 발견할 수 없었다. 오늘날 우리에게는 죽어 있는 물질을 가정하는 것이 친숙 하지만 그들 고대인들은 그런 것을 생각할 수조차 없었다. 오히려 세계가 살아 있다는 것이 무엇보다도 자연스런 가정이었고, 우선 그들 시야에 보이는 현상들이 이 가정을 뒷받침해 주고 있었다. 생명은 인간을 둘러싸고 있는 지상의 연극무대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