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치:
방대하지만 단일하지 않은 성폭력의 역사
조애나 버크
서문
전 세계적인 재앙에 대항하기 위하여
완다 콜먼의 시, <강간>(1983)
그 처름 지독한 짓을 저리른 자들보다 희생자들이 수치스럽게 여겨진다는 점이다. 21
그래서 이 책은 행동을 촉구한다. 강간과 성 학대는 인간 문화에서 불가피한 것이 아니다. 과거와 현재에 얼마나 성적으로 잔인한 짓이 자행되었는지 기가 질릴 정도이지만, 이런 행태의 폭력에 반대하고 근절할 수 있다. 나는 강간이 문화적으로 구성되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강간은 시대와 장소에 따라 다양하다. 이런 차이들이 더 조화롭고 공정하며 평등한 세상을 만드는 실마리를 제공한다. 이 책에서 나는 제도적, 문화적, 이데올로기적인 것을 포함하여 성 학대를 일으키는 요소를 파헤치고, 패턴과 실제 사례를 탐색할 것이다. 그와 동시에 희생자들과 가해자들이 폭력적인 행동에 부여하는 여러 의미도 살펴볼 것이다. 23
더 취약한 사람들
차이에 앞서 유사성을 강조할 위험이 늘 있다. 성폭력이 보편적인 경험이라는 가정은 개인의 역사가 갖는 특수성을 모욕한다. 공포는 항상 지역적이다.
또한 공포는 불균등하게 배분된다. .. 브라운 밀러의 책, <<우리 의지에 반하여>>(1975)은 전 세계적으로 성폭력에 대해 생각하는 방식을 변화시켰지만, 이러한 일반화를 지지하기는 어렵다. 다른 사람들보다 더 취약한 사람들이 있다. 흑인과 소수민족, 난민, 망명 신청자, 불법 이민자, LGBTQ, 제3의 성, 그 밖에 신체적 장애나 학습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그렇듯이, 여성들은 더 큰 위험에 처해 있다.
중요한 것은, 이런 정체성들이 별개의 취약성이 아니라는 점이다. 그 효과는 누적된다. .. 전 지구적 맥락에서 성폭력을 이해하려면 성차별이나 인종적 편견만이 아니라 인종, 젠더, 계급, 카스트, 종교, (비)장애, 연령, 세대 등의 복합적인 효과에 주의를 기울어야 한다. 27
무엇이, 어디까지가 성폭력인가
첫 번째 질문은 이것이다. '성폭력'이 무엇을 의미하는가? 법적으로 동의 가능한 연령 미만인 사람끼리 동의하에 하는 성적 행동은 어떤가? 혹은 여성 생식기 절제는? 소년들의 할례는? 성매매는 폭력의 한 형태이지만, 자식을 멀여살려야 하는 성인 여성이 자발적으로 하는 성 노동은 학대일까? 남편이 서서히 '안돼'라는 말을 하지 못하게 만든다면 어떻까? 오직 다른 남자들의 무장한 폭력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해주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급히 어떤 남자와 결혼한다면? 28
이 책에서는 성폭력을 참여자, 희생자, 혹은 제삼자(유아, 아주 어린 아이들, 학습 장애가 심각한 사람들의 고통은 제삼자가 설명해주는 수밖에 없다)가 성폭력으로 인정한 모든 행위로 정의한다.
이 정의를 쓰면 성별화된 몸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복잡한 상호작용의 구성 요소를 전부 문제화하고 역사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정의는 법적 신조에 회의적이다. 전 세계에서 법은 무엇이 폭력적인 성적 행동인지 잘 인정하지 않는다. 법은 '보통' 남성의 비행을 범죄화할까 두려워한다. 28
두 번째 어려움은 수량화에 관한 것이다. 이 책에서는 다양한 통계를 언급한다. 그것들이 범죄의 진짜 발생 정도를 반영하지는 않으며, 범죄에 대해 경찰이 알고 있는 것조차 반영하지 못한다. 확실한 것은 통계가 심각하게 축소되었다는 사실뿐이다. 30
생존자에게 목소리 돌려주기
성폭력의 초국자적인 역사를 위한 세 번재 도전은 생존자들이 무대 중앙에 나서게 만드는 것이다. 수 세기 동안 남성 위주의 법과 형벌 제도가 성적 학대에 판결을 내렸다. 이러한 권위 있는 목소리들은 성 학대에 답을 내릴 독점적인 특권을 주장한다. 반면 학대당한 사람들으이 주장은 항상 의문시되었고, 폄하되거나 억압당하고 침묵당했다.
그러나 희생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기'는 복잡한 작업이다. 철학적으로도 현실적으로도 그렇다. 희생자의 행위성을 박탈할 위험이 있다. 31
또한 성 학대에 대해 쓰기와 말하기는 이미 피해를 입은 사람들을 다시 괴롭힐 수도 있다. ... 희생자들의 발언은 결국 '분노'모다는 '관음증'을 끌어내는 데 그친다. 33
희생자-생존자를 침묵시키는 한 가지 방법이 그들의 프라이버시나 대응 전략을 존중하지 않는 것이라면, 또 다른 방법은 희생자들의 트라우마를 전유하여 그들이 공유하지 않는 의제를 위해 이용하는 것이었다. 34
맥키넌은 구유고슬라비아에서 벌어진 잔학 행위의 특수성에 주의를 기울이기보다는, 강간 생존자들의 증언을 이용하여 북아메리카 페미니즘의 수사적 시선을 국가 혹은 민족주의를 넘어서는 것으로 특권화했다. 35
희생자들의 삶의 특수성은 삭제되었다. 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