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51

향모를 땋으며(9)_미슈코스 케노마그웬: 풀의 가르침

미슈코스 케노마그웬: 풀의 가르침내게 실험은 식물과 나누는 일종의 대화다. 물어볼 것이 있지만, 우리는 같은 언어를 구사히지 않기에 직접 묻지 못하고 그들도 말로 대답하지 않는다. 하지만 물리적 반응과 행동은 유창할 수 있다. 식물은 살아가는 방식으로, 변화에 대한 반응으로 질문에 대합한다. 우리는 어떻게 물을지 배우기만 하면 된다. 동료들이 "X를 발견했어"라고 말할 때마다 웃음이 난다. 그건 콜럼버스가 자신이 아메리카를 발견했다고 주장하는 꼴이다. 아메리카는 줄곧 거기에 있었다. 그가 몰랐을 뿐이지 실험은 발견하는 것이 아니라 귀를 기울이고 다른 존재의 앎을 변역하는 것이다. 235"식물을 섬기며 이용하면 우리 곁에 머물며 번성할 테지만, 무시하면 떠날 것이란다" 인간을 '자연' 바깥에 놓고 인간과 ..

향모를 땋으며(8)_세 자매

세 자매 The Three Sisters어떤 이야기에 따르면 기나긴 겨울에 사람들이 굶주 림으로 쓰러져가고 있었다고 한다. 눈 내리는 밤 아름다운 여인 셋이 사람들의 집으로 찾아왔다. 한 명은 키가 컸는데 온통 노란색으로 차려입었으며 기다란 머리카락이 찰랑거렸다. 두 번째 여인은 초록색 옷을 입었으며 세 번째는 주황색을 걸쳤다. 세 여인은 불 가에서 몸 을 녹이려고 집 안으로 들어왔다. 식량은 넉넉하지 않았지만 낯선 손 님들은 넉넉한 대접을 받았으며 얼마 남지 않은 음식을 사람들과 함 께 먹었다. 세 자매는 환대에 감사하는 뜻에서 자신들이 실은 옥수 수와 콩과 호박이었음을 밝히고 사람들이 다시는 굶주리지 않도록 자신을 씨앗 꾸러미로 내어주었다. 195세 자매는 높이가 들쭉날쭉한 덕에 해의 선물인 빛을 버..

향모를 땋으며(7)_감사에 대한 맹세.콩을 보며 깨닫다

감사에 대한 맹세 Allegiance to Graditute국기에 대한 맹세, 모두를 위해 자유와 정의를. 우리의 뿌리는 감사의 문화다. 감사가 최우선인 문화에서 자녀를 키운다고 생각해보라. 프리다 자크, 그녀는 내게 감사 연설이 오논다가족과 세상의 관계를 구체화한 것이라고 설명해준다. 창조 세계의 각 부분은 조물주가 나머지 존재들에게 준 의무를 다하기에 감사를 받는다. "그러면 자신이 충분히 가졌음에 매일 자각하게 돼요. 아니, 충분한 것 이상이죠. 생명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모든 것이 이미 여기에 있어요. 매일 이렇게 하면 모든 창조 세계를 만족과 존중의 시각에서 바라볼 수 있답니다." 감사 연설을 들으면 부자가 된 느낌을 받지 않을 수 없다. 감사를 표현하는 것은 순진무구해 보이지만, 혁명적 개념이..

향모를 땋으며(6)_엄마의 일.수련의 위로

엄마의 일 A Mother's Work우리 포타와토미 부족에서 여성은 물의 수호자다. 우리는 제의에 쓸 신성한 물을 나르고 그 물을 대신해 행동한다. 자매가 말했다. "여자들이 물과 자연적 유대 관계를 맺는 것은 우리 둘 다 생명을 낳는 존재이기 때문이야. 우리는 몸 속 연못에 아기를 품지. 아기는 물결을 타고 세상에 나와. 우리의 모든 관계를 위해 물을 지키는 것은 우리의 임무야 좋은 엄마가 되기 위한 조건에는 물을 보살피는 것도 포함된다. 144좋은 엄마가 된다는 것은 세상을 돌보는 법을 자녀에게 가르친다는 것을 뜻한다. 그래서 나는 딸들에게 텃밭 일구는 법과 사과나무 가지치는 법을 알려주었다. 사과나무는 물 위로 가지를 뻗어 그늘을 드리운다. 봄이면 분홍색과 흰색의 꽃 무리가 언덕 아래로 향기의 기..

향모를 땋으며(5)_단풍당의 달.위치헤이즐

단풍당의 달 Maple Surgar Moon단풍나무는 자신이 받은 으뜸명령을 해마다 수행한다. 그것은 사람들을 돌보라는 명령이다. 하지만 그와 동시에 자신의 생존도 도모한다. 계절의 변화가 시작되었음을 감지한 눈은 굶주림에 시달린다. 1밀리미터밖에 안 되는 싹은 어엿한 잎이 되기를 갈망하기에 식량이 필요하다. 그래서 눈은 봄을 감지하면 줄기를 따라 뿌리에 호르몬 신호를 보낸다. 이것은 빛의 세계에서 지하 세계로 타전하는 모닝 콜이다. 호르몬은 아밀라아제의 형성을 자극하는데, 이 효소는 뿌리에 저장된 커다란 녹말 분자를 작은 당 분자로 쪼갠다. 뿌리의 당 농도가 높아지기 시작하면 삼투 작용이 일어나 흙으로부터 물을 빨아 들인다. 당은 축축한 봄 흙에서 뽑아낸 물에 녹은 채 줄기를 따라 위로 올라가며, 이렇..

향모를 땋으며(4)_참취와 미역취.유정성의 문법

참취와 미역취 Asters and Goldenrod  내가 식물을 선택한 이유는 참취와 미역취가 함께 있을 때 왜 그리도 아름답게 보이는지 알고 싶어서라고 그에게 말했다. 67왜 참취와 미역취는 혼자 자랄 수도 있는데 나란하 자랄까? 왜 둘이 짝을 이룰까? 분홍색과 흰색과 파란색이 놓인 것은 순전히 우연일까? 이 패턴은 어디서 왔을까? 세상은 왜 이토록 아름다울까? 그러지 않을 수도 있었을 텐데. 우리 눈에 추하게 보이면서도 제 목표를 얼마든지 달성할 수 있었을 텐데. 그런데도 그러지 않았다. 교수의 말, "아름다움을 공부하고 싶으면 미대에 가야죠" 69벌과 사람 둘 다 두 꽃을 아름답다고 생각한다. 두 꽃은 함께 자랄 때 선명한 대비를 이룸으로써 초원 전체에서 가장 매력적인 표적, 즉 벌의 유도등이 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