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해자와 피해자의 이분법을 넘어서_자비와 용서의 패러다임 제 3부 새로운 방식으로 사회를 변화시키기 7장. _자비와 용서의 패러다임 1. 가해자와 피해자의 이분법을 넘어서 '죄'와 '벌'은 이분법적 실체론의 전형 : 문제의 원인을 어떤 실체로 상정하려는 본질주의적 관점 . 전근대 사회의 희생양 . 현대, 합리적 원인을 찾는 방식, 해방지향적 투쟁.. 불교적 관점에서 본 여성주의 인식론_고미송 2017.06.30
수행이 결여된 불완전한 해체_불교적 관점에서 여성주의/해체론 바라보기 6장.불교적 관점에서 여성주의/해체론 바라보기 3. 수행이 결여된 불완전한 해체 서구의 해체론 : . 법공을 철학적으로 표현해 주는 것. . 철학이 삶 속의 수행으로 연결되지 않는 한 그것은 여전히 인식대상에 대한 철학적 논의로 머무를 수 밖에. 공을 실제로 체득하기 위해서는 더 이상 .. 불교적 관점에서 본 여성주의 인식론_고미송 2017.06.30
규범적 실체론_불교적 관점에서 여성주의/해체론 바라보기 6장, 불교적 관점에서 여성주의/해체론 바라보기 2. 규범적 실체론 버틀러에 대한 비판 : '(선악의) 규범성의 결여' . '무엇을 근거로 무엇에 대해서 저항해야 하는가?' 모든 해방담론이 공유하고 있는 상대주의에 대한 거부감, 해방의 당위성이 약화되는 것에 대한 우려의 표현임. 규범의 .. 불교적 관점에서 본 여성주의 인식론_고미송 2017.06.30
인과율, 상호인과율 연기법_불교적 관점에서 여성주의/해체론 바라보기 6장. 불교적 관점에서 여성주의/해체론 바라보기 1.인과율, 상호인과율 연기법 두 사람이 싸우고 있었다. 한 사람은 깃발이 움직인다고 주장했고, 다른 한 사람은 바람이 깃발을 움직이게 하는 거라고 주장했다. 세 번째 사람이 나타나서 두 가지 주장이 모두 틀렸다고 말했다. 그는 오직 .. 불교적 관점에서 본 여성주의 인식론_고미송 2017.06.29
이제설: 궁극의 진리와 경험적 진실(2)_진정한 이분법의 해체 2.진정한 이분법의 해체_이제설: 궁극의 진리와 경험적 진실(2) 2) 진리의 이중성 색즉시공 공즉시색 사람들이 '유'에 사로잡히다 -> '색은 공이다'라고 했고, 사람들이 '공'을 아무것도 없는 것으로 잘못 알기 십상이기에 -> '공은 곧 색이다'라고 하는 것. 불교의 약사: 인도에서 독자적.. 불교적 관점에서 본 여성주의 인식론_고미송 2015.11.19
이 세상이 착각임을 증명하는 논리(3)_2.진정한 이분법의 해체 2.진정한 이분법의 해체_이 세상이 착각임을 증명하는 논리(3) 3) 공의 이해 : 존재와 변화의 착각현상 착시현상, 감각에 배인 습관으로 인해 심리적 감수성은 여전히 착각 속에 빠져 있다. 예. 기찻길 착시현상 현실세계에서 거리가 멀어지면 사물이 더 작아 보인다는 반복된 경험을 학습.. 불교적 관점에서 본 여성주의 인식론_고미송 2015.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