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51

이 세상이 착각임을 증명하는 논리(2)_2.진정한 이분법의 해체

2.진정한 이분법의 해체_이 세상이 착각임을 증명하는 논리(2) < 원인과 결과 > 12지연기법. 생명체가 전생, 현생, 내생에 걸쳐 죽고 태어나는 과정을 12가지 지분으로 나누어 설명함. '식'(죽음 후의 오온)이라는 인이 부모의 수정란을 연하여 명색(태아의 오온)이라는 결과로 이어진 것..

이 세상이 착각임을 증명하는 논리(1)_2.진정한 이분법의 해체

2.진정한 이분법의 해체_이 세상이 착각임을 증명하는 논리(1) 1) 중관논리 중도에 대한 관. 연기법의 원리에 관한 요약으로서 8불 : 발생하지 않으며 소멸되지 않는다. 상주하지 않으며 단절되지 않는다. 동일하지 않으며 다르지 않다. 어디서 오는 것이 아니며 어디로 가는 것이 아니다. ..

인과의 구조에 대한 해체의 시작_1.여성주의와 이분법

1.여성주의와 이분법_인과의 구조에 대한 해체의 시작 여성주의 역사, " 그 동안 여성주의는 억압의 기원을 어디에서 찾느냐에 따라 다양한 이론들로 나뉘어졌었으나 점차로 기원에 대한 논쟁은 사라지고 현실의 다양한 억압체계들을 분석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 그럼에도 불구..

불교적 관점에서 여성주의 바라보기(2)_1.여성주의와 이분법

1.여성주의와 이분법_불교적 관점에서 여성주의 바라보기(2) 근대를 넘어선 다는 것은 뉴튼의 고전물리학 패러다임을 넘어서는 것이다. 따라서 현대물리학 패러다임에 대한 이해 없이는 근대를 넘어설 수 없으며 현대물리학과 상응하는 불교에 대한 이해 없이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개인..

불교적 관점에서 여성주의 바라보기(1)_1.여성주의와 이분법

1.여성주의와 이분법_불교적 관점에서 여성주의 바라보기(1) 여성주의와 불교, 고통에 대한 이해가 다르다. "여성주의는 여성들의 고통이 가부장적인 사회구조에 의한 억압*의 결과임을 전제로 해서 논의를 진행해 왔다면, 불교는 설령 그러한 억압적인 구조들이 파타되었다 할지라도 궁..

우리 안에 있는 이분법_ 1.여성주의와 이분법

1.여성주의와 이분법_우리 안에 있는 이분법 책 제목, '불교적 관점에서 본 여성주의 인식론'에서 여성주의는 가장 진보적인 패러다임의 시각을 대표하는 인식론을 의미한다. 그리고 불교적 관점이란 모든 성현들이 깨달은 진실, 현대물리학을 통해서 하나 둘 밝혀지고 있는 이 세계의 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