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과의 구조에 대한 해체의 시작_1.여성주의와 이분법 1.여성주의와 이분법_인과의 구조에 대한 해체의 시작 여성주의 역사, " 그 동안 여성주의는 억압의 기원을 어디에서 찾느냐에 따라 다양한 이론들로 나뉘어졌었으나 점차로 기원에 대한 논쟁은 사라지고 현실의 다양한 억압체계들을 분석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 그럼에도 불구.. 불교적 관점에서 본 여성주의 인식론_고미송 2015.11.14
불교적 관점에서 여성주의 바라보기(2)_1.여성주의와 이분법 1.여성주의와 이분법_불교적 관점에서 여성주의 바라보기(2) 근대를 넘어선 다는 것은 뉴튼의 고전물리학 패러다임을 넘어서는 것이다. 따라서 현대물리학 패러다임에 대한 이해 없이는 근대를 넘어설 수 없으며 현대물리학과 상응하는 불교에 대한 이해 없이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개인.. 불교적 관점에서 본 여성주의 인식론_고미송 2015.11.13
불교적 관점에서 여성주의 바라보기(1)_1.여성주의와 이분법 1.여성주의와 이분법_불교적 관점에서 여성주의 바라보기(1) 여성주의와 불교, 고통에 대한 이해가 다르다. "여성주의는 여성들의 고통이 가부장적인 사회구조에 의한 억압*의 결과임을 전제로 해서 논의를 진행해 왔다면, 불교는 설령 그러한 억압적인 구조들이 파타되었다 할지라도 궁.. 불교적 관점에서 본 여성주의 인식론_고미송 2015.11.13
우리 안에 있는 이분법_ 1.여성주의와 이분법 1.여성주의와 이분법_우리 안에 있는 이분법 책 제목, '불교적 관점에서 본 여성주의 인식론'에서 여성주의는 가장 진보적인 패러다임의 시각을 대표하는 인식론을 의미한다. 그리고 불교적 관점이란 모든 성현들이 깨달은 진실, 현대물리학을 통해서 하나 둘 밝혀지고 있는 이 세계의 실.. 불교적 관점에서 본 여성주의 인식론_고미송 2015.11.13
새로운 시대의 진보와 보수 " 인간해방을 부르짖는 남성이 여성비하적 태도를 취하"는 자기모순. " 그런데 동일한 현상이 여성주의 내부에서도 나타나게 된 것이다. 여성해방의 외침은 ... 이분법의 틀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그것은 결국은 자기모순으로 돌아온다. 마찬가지로 내가 남에게 했던 모든 말들도 결국은 .. 불교적 관점에서 본 여성주의 인식론_고미송 2015.11.13
고통의 문제 " 나는 여성주의자로서의 정체성과, 구도자로서의 정체성 사이에서 분열되었다. " " 대부분의 사회운동에 참여하게 되는 사람들이 그러하듯이, 세상에는 참으로 많은 고통 받는 사람들이 있음을 인식하게 되고 이러한 고통들을 해결하고자 하는 의지가 실천을 이끌어내는 원동력이 된다... 불교적 관점에서 본 여성주의 인식론_고미송 2015.11.13
실존적 고민과 정체성의 분열 " 실존적 고민이 풀리지 않는 데에서 오는 정신적인 외로움이 있었다.. 왜 태어났는지를 알 수 없고 언제 죽을지를 알 수 없는 너무나 연약한 유기체인 내게, 지구에서 인간으로 살아간다는 것의 근본적인 의미를 찾는 일은 삶과 죽음에 대한 집착을 내려놓기 위해 필수적인 사항이었으나.. 불교적 관점에서 본 여성주의 인식론_고미송 2015.11.13
윤회에 관한 담론,.... 전생에 관한 설명들은.... 그 자체만으로도 원인과 결과의 스펙트럼 " 윤회에 관한 담론,.... 전생에 관한 설명들은.... 그 자체만으로도 원인과 결과의 스펙트럼을 달리 바라보게 해주는 효과가 있었다. 이 순간의 피해자/가해자의 관계가 현재의 좁은 시야로는 부당하게 느껴지더라도 보다 확장된 범위로 인식했을 때에는 인과관계의 해석이 달라질 수 있.. 불교적 관점에서 본 여성주의 인식론_고미송 2015.11.13
'페미니즘과 용서' 여성주의자로서 나의 삶에서 나타난 문제의식(계속) 용서. " 실재로 삶 속에서 여성주의적 관점을 치열하게 견지하면 할 수록 다른 사람들은 그냥 넘어가는 부분에 대해서도 나는 빠짐없이 비판을 하게 되었고, 그 비판의 과정에서 나는 더 많은 갈등관계를 만들었으며 이에 따라 더욱 더 .. 불교적 관점에서 본 여성주의 인식론_고미송 2015.11.13
'페미니즘과 분노' 여성주의자로서 나의 삶에서 나타난 문제의식 . 분노. " 여성주의자로서의 나는 분노로 출발하였고 또 분노가 나를 여성주의자가 되게 하였다. 부당한 차별과 억압적인 사회문화적 규범 및 제도들로 인해 내가 고통 받고 있다는 인식을 토대로 저항의식이 실천의 동기가 되었다. 또한 다.. 불교적 관점에서 본 여성주의 인식론_고미송 2015.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