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과 사회의 이분법을 넘어서_믿음의 정치학 8장. 믿음의 정치학 1.개인과 사회의 이분법을 넘어서 o 상즉과 상입 불교를 저극적으로 수용하는 해체론에 대한 비판 : 사회적인 실천성이 결여되어 있다. : 고통으로부터의 해방의 문제를 개별적인 회심(심리치유의 문제)으로 만 봄. 중산층 중심의 아카데미의 외부에 있는 열악한 조건.. 불교적 관점에서 본 여성주의 인식론_고미송 2017.07.01
용서의 가능성_자비와 용서의 패러다임 7장. 자비와 용서의 패러다임 2. 용서의 가능성 가부장적 사회에서 여성은 자발적 용서와 돌봄에 관해 심리적 장애, 거부감을 느낌. 의무적으로 강제된 돌봄, 서비스는 여성에겐 단지 노동일 뿐. 용서와 친절을 배푸는 수행의 일은 여성과 남성에게 다르게 경험됨. 남성: 독립적, 분리적 자.. 불교적 관점에서 본 여성주의 인식론_고미송 2017.06.30
가해자와 피해자의 이분법을 넘어서_자비와 용서의 패러다임 제 3부 새로운 방식으로 사회를 변화시키기 7장. _자비와 용서의 패러다임 1. 가해자와 피해자의 이분법을 넘어서 '죄'와 '벌'은 이분법적 실체론의 전형 : 문제의 원인을 어떤 실체로 상정하려는 본질주의적 관점 . 전근대 사회의 희생양 . 현대, 합리적 원인을 찾는 방식, 해방지향적 투쟁.. 불교적 관점에서 본 여성주의 인식론_고미송 2017.06.30
수행이 결여된 불완전한 해체_불교적 관점에서 여성주의/해체론 바라보기 6장.불교적 관점에서 여성주의/해체론 바라보기 3. 수행이 결여된 불완전한 해체 서구의 해체론 : . 법공을 철학적으로 표현해 주는 것. . 철학이 삶 속의 수행으로 연결되지 않는 한 그것은 여전히 인식대상에 대한 철학적 논의로 머무를 수 밖에. 공을 실제로 체득하기 위해서는 더 이상 .. 불교적 관점에서 본 여성주의 인식론_고미송 2017.06.30
규범적 실체론_불교적 관점에서 여성주의/해체론 바라보기 6장, 불교적 관점에서 여성주의/해체론 바라보기 2. 규범적 실체론 버틀러에 대한 비판 : '(선악의) 규범성의 결여' . '무엇을 근거로 무엇에 대해서 저항해야 하는가?' 모든 해방담론이 공유하고 있는 상대주의에 대한 거부감, 해방의 당위성이 약화되는 것에 대한 우려의 표현임. 규범의 .. 불교적 관점에서 본 여성주의 인식론_고미송 2017.06.30
인과율, 상호인과율 연기법_불교적 관점에서 여성주의/해체론 바라보기 6장. 불교적 관점에서 여성주의/해체론 바라보기 1.인과율, 상호인과율 연기법 두 사람이 싸우고 있었다. 한 사람은 깃발이 움직인다고 주장했고, 다른 한 사람은 바람이 깃발을 움직이게 하는 거라고 주장했다. 세 번째 사람이 나타나서 두 가지 주장이 모두 틀렸다고 말했다. 그는 오직 .. 불교적 관점에서 본 여성주의 인식론_고미송 2017.06.29
이제설: 궁극의 진리와 경험적 진실(2)_진정한 이분법의 해체 2.진정한 이분법의 해체_이제설: 궁극의 진리와 경험적 진실(2) 2) 진리의 이중성 색즉시공 공즉시색 사람들이 '유'에 사로잡히다 -> '색은 공이다'라고 했고, 사람들이 '공'을 아무것도 없는 것으로 잘못 알기 십상이기에 -> '공은 곧 색이다'라고 하는 것. 불교의 약사: 인도에서 독자적.. 불교적 관점에서 본 여성주의 인식론_고미송 2015.11.19
이 세상이 착각임을 증명하는 논리(3)_2.진정한 이분법의 해체 2.진정한 이분법의 해체_이 세상이 착각임을 증명하는 논리(3) 3) 공의 이해 : 존재와 변화의 착각현상 착시현상, 감각에 배인 습관으로 인해 심리적 감수성은 여전히 착각 속에 빠져 있다. 예. 기찻길 착시현상 현실세계에서 거리가 멀어지면 사물이 더 작아 보인다는 반복된 경험을 학습.. 불교적 관점에서 본 여성주의 인식론_고미송 2015.11.19
이 세상이 착각임을 증명하는 논리(2)_2.진정한 이분법의 해체 2.진정한 이분법의 해체_이 세상이 착각임을 증명하는 논리(2) < 원인과 결과 > 12지연기법. 생명체가 전생, 현생, 내생에 걸쳐 죽고 태어나는 과정을 12가지 지분으로 나누어 설명함. '식'(죽음 후의 오온)이라는 인이 부모의 수정란을 연하여 명색(태아의 오온)이라는 결과로 이어진 것.. 불교적 관점에서 본 여성주의 인식론_고미송 2015.11.18
이 세상이 착각임을 증명하는 논리(1)_2.진정한 이분법의 해체 2.진정한 이분법의 해체_이 세상이 착각임을 증명하는 논리(1) 1) 중관논리 중도에 대한 관. 연기법의 원리에 관한 요약으로서 8불 : 발생하지 않으며 소멸되지 않는다. 상주하지 않으며 단절되지 않는다. 동일하지 않으며 다르지 않다. 어디서 오는 것이 아니며 어디로 가는 것이 아니다. .. 불교적 관점에서 본 여성주의 인식론_고미송 2015.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