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451

존재론적 혁명, 세상이 아니라 세상을 보는 우리의 마음을 혁명해야.

인간 욕망(소유론적 욕망)의 운명. . 자연의 존재방식, 상생과 상극이란 상관관계의 얽힘. 자연의 존재론적 욕망, 자연의 완전교환 , 시장. 사회주의적 도덕론자들, 이기심의 타락현상으로 규탄함. . -> 인간의 소유론적 욕망의 운명, 인류의 역사적 운명 . 토템 -> 불완전한 교환방식인 ..

불교와 여성주의가 만나고 교차하는 지점

10장. 불교와 여성주의가 만나고 교차하는 지점 비록 앞에서 '방 안의 현실을 개선시키는 문제에서 출발해야지 방 자체가 감옥이라는 것을 이야기하는 불교적 진리를 출발점으로 삼을 수은 없다'고 하였지만, 방 안의 현실을 개선시키는 논의들 자체가 이미 공성의 개념을 현실변화의 방..

수행자적 태도의 실천적 의미_이분법적이지 않은 사회적 실천

9장. 이분법적이지 않은 사회적 실천 2, 수행자적 태도의 실천적 의미 불교의 궁극적 목적은 성불, 깨달음. -> 이것이 바로 고통에 대한 근본적인 해답이다. 급한 불을 꺼야 하는 여성주의자의 입장에서는 다소 부적절한 대안이기도 함. -> 해답에 대한 신뢰가 있다면 다만 어렵다는 이..

적대적 대립을 넘어서기_이분법적이지 않은 사회적 실천

9장. 이분법적이지 않은 사회적 실천 1. 적대적 대립을 넘어서기 이분법적이지 않은 사회적 실천이란 무엇이며 어떤 모습으로 나타날 수 있는 것일까? . 주체의 피해자적 관점을 다른 각도에서 볼 필요가 있다. . 이것은 여성이 가담하고 있는 인간중심주의에 대한 성찰을 통해서 만이 가..

인과로 구성된 마음의 활용_믿음의 정치학

8장. 믿음의 정치학 2. 인과로 구성된 마음의 활용 '점 하나를 찍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마음의 활용. o '한마음 주인공'과 마음의 활용 대행스님, 한마음주인공(나의 근본이며, 나의 모든 것을 하며, 일체 모든 현상이 다 한마음 주인공의 나툼이다, 그 또한 공한 것임). 주인공은 생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