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성을 꽃피우는 전도 종교. 밖으로의 진리에의 의지와 안으로의 권력에의 의지. 부처와 예수. "나를 의지하지 말고, 법과 마음의 등불에 의지하라' "진리가 너희를 자유롭게 하리라" "불법이라고 말하는 것은 불법이 아니다" 예수, 진리에 대해 어떤 정의도 내리지 않고 끝내 묵언함. 전투적 행동주의자들 : 진.. 마음혁명_김형효 철학산책 2017.07.27
선과 악을 넘어서 지금까지의 도덕교육이 가르친 의식의 당위적인 도덕 가치는 무의식의 이해관계와 관련된 도전을 받으면 순식간에 흔적도 없이 날아가 버리고, 통상적으로 인간은 오직 무의식의 이해관계에만 집착하는 행동만 함. 인간의 이성적 가치가 무의식의 본능적 이해관계 앞에서 얼마나 허약.. 마음혁명_김형효 철학산책 2017.07.27
이기주의와 도덕주의를 넘어서 <이기주의와 도덕주의를 넘어서> 동물의 본능, 선천적, 예지적, 무의식적, 닫힌 체계. 동물의 본능은 본성과 동일 인간의 지능, 후천적, 인공적, 의식적 -> 자의식. 인간의 본능은 본성과 일치하지 않아. 인간의 본성도 본능처럼 선악을 구분하기 이전의 자연적 상태임. 그러나 인간.. 마음혁명_김형효 철학산책 2017.07.27
존재론적 혁명, 세상이 아니라 세상을 보는 우리의 마음을 혁명해야. 인간 욕망(소유론적 욕망)의 운명. . 자연의 존재방식, 상생과 상극이란 상관관계의 얽힘. 자연의 존재론적 욕망, 자연의 완전교환 , 시장. 사회주의적 도덕론자들, 이기심의 타락현상으로 규탄함. . -> 인간의 소유론적 욕망의 운명, 인류의 역사적 운명 . 토템 -> 불완전한 교환방식인 .. 마음혁명_김형효 철학산책 2017.07.27
(머리말) 존재론적 사유의 길 당위적이고(도덕주의적이고) 감상적이고 낭만주의적 수준의 사유에서 벗어나 존재론적 사유의 길을 한국사회에서 펼치는 것이 중요하다. 나는 우리 사회가 도덕주의적 판단시비의 격을 높여서 존재론적 사유로 우리의 세상을 보고 인생을 음미할 것을 주장했다. 도덕주의적 사유로는우.. 마음혁명_김형효 철학산책 2017.07.27
믿음이 곧 현실이다_맺음말 제 4부 맺음말 11장. 믿음이 곧 현실이다. 지배권력, 자신만의 안위 혹은 자신이 속한 집단만의 안위를 생각, 이들의 이분법으로 사회(구성원)는 분열되고 고통받는다. -> 대항세력이 형성됨. 이 대항세력은 독자적으로 세력화하는 것이 아니라 항상 지배권력의 이분법에 의해 창조된다. .. 불교적 관점에서 본 여성주의 인식론_고미송 2017.07.03
불교와 여성주의가 만나고 교차하는 지점 10장. 불교와 여성주의가 만나고 교차하는 지점 비록 앞에서 '방 안의 현실을 개선시키는 문제에서 출발해야지 방 자체가 감옥이라는 것을 이야기하는 불교적 진리를 출발점으로 삼을 수은 없다'고 하였지만, 방 안의 현실을 개선시키는 논의들 자체가 이미 공성의 개념을 현실변화의 방.. 불교적 관점에서 본 여성주의 인식론_고미송 2017.07.03
수행자적 태도의 실천적 의미_이분법적이지 않은 사회적 실천 9장. 이분법적이지 않은 사회적 실천 2, 수행자적 태도의 실천적 의미 불교의 궁극적 목적은 성불, 깨달음. -> 이것이 바로 고통에 대한 근본적인 해답이다. 급한 불을 꺼야 하는 여성주의자의 입장에서는 다소 부적절한 대안이기도 함. -> 해답에 대한 신뢰가 있다면 다만 어렵다는 이.. 불교적 관점에서 본 여성주의 인식론_고미송 2017.07.03
적대적 대립을 넘어서기_이분법적이지 않은 사회적 실천 9장. 이분법적이지 않은 사회적 실천 1. 적대적 대립을 넘어서기 이분법적이지 않은 사회적 실천이란 무엇이며 어떤 모습으로 나타날 수 있는 것일까? . 주체의 피해자적 관점을 다른 각도에서 볼 필요가 있다. . 이것은 여성이 가담하고 있는 인간중심주의에 대한 성찰을 통해서 만이 가.. 불교적 관점에서 본 여성주의 인식론_고미송 2017.07.03
인과로 구성된 마음의 활용_믿음의 정치학 8장. 믿음의 정치학 2. 인과로 구성된 마음의 활용 '점 하나를 찍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마음의 활용. o '한마음 주인공'과 마음의 활용 대행스님, 한마음주인공(나의 근본이며, 나의 모든 것을 하며, 일체 모든 현상이 다 한마음 주인공의 나툼이다, 그 또한 공한 것임). 주인공은 생명.. 불교적 관점에서 본 여성주의 인식론_고미송 2017.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