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73

생각이란 무엇인가

생각이란 무엇인가: 인간의 생각 감각에 대하여 마르쿠스 가브리엘 들어가기 전에 머리말 1장 생각하기에 관한 진실 한없는 복잡성 | 생각하기? 생각하기란 대체 뭐지? | 인간만 생각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 우주의 범위 | 아리스토텔레스의 감각 연구 | 〈상식〉의 원래 의미 | 〈감각〉의 뜻, 혹은 착각하기의 여러 방식 | 우주로 망명한 자의 관점? | 모든 대상이 사물인 것은 아니다 | 빨간 뚜껑이 실재할까? | 생각하기는 신경 자극의 처리가 아니다 | 오직 진실 | 합의로 만들어진 세계 | 프레게의 생각 | 뜻, 정보, 가짜 뉴스의 무의미성 | 우리의 여섯 번째 감각 2장 생각하기와 기술 지도와 영토 | 컴퓨터가 중국어를 할 수 있을까? | 사진은 크레타를 기억하지 못한다 | 개미가 모래..

2023년 2023.06.30

다크룸

다크룸: 영원한 이방인, 내 아버지의 닫힌 문 앞에서 수전 팔루어 (1) 발제 1. '성' 이란 섹스 sex 생물힉적 몸 젠더 gender 성별, 성역할 섹슈얼리티 sexuality 성적 지향, 성애화 성별 이원제 이성애, 이성애자, 이성애주의 LGBT 가이다이크 guydyke 대체로 지정 성별 남성으로 스스로를 레즈비언으로 느끼는 사람. 성별 이원제에서 벗어난 젠더퀴어인 경우가 많고, 여성과 여성으로서 관계를 맺고 싶어 한다. 걸패그 girlfag 대체로 지정 성별 여성으로 스스로를 게이로 느끼며, 남성과 남성으로서 관계를 맺고 싶어하는 이들. 2. 정체성 문제 ㅡ저자와 그의 회고록 대상인 아버지 딸 수전 팔루어 (페미니스트, 이성애자...) . 피의 밤, '타락한' 여성으로서 엄마, 가정의 수호자 아..

2023년 2023.06.30

나는 뇌가 아니다(1)

나는 뇌가 아니다: 칸트, 다윈, 프로이트, 신경과학을 횡단하는 21세기를 위한 정신 철학 마르쿠스 가브리엘 목차 프롤로그 물질 입자와 의식 있는 유기체 뇌의 10년 뇌 스캔 속의 정신적 자유? USB 스틱으로서의《나》 신경강박과 다윈염 ─ 「파고」의 경우 정신-뇌 이데올로기 자기해석의 지도 1장 정신 철학은 무엇을 다루는가? 우주 안의 정신? 헤겔의 정신 사회적 무대 위의 역사적 동물 왜 모든 사건은 아니더라도 일부 사건은 목적을 향해 일어나는가 2장 의식 나는 네가 보지 못하는 것을 본다! 의식 영화 속의 어지러운 입자들 불상과 뱀과 박쥐 신경 칸트주의의 물결 위에서 자기 경험을 벗어날 수는 없다? 믿음, 사랑, 희망은 모두 다 환상인가? 각각의 자아 속에 이타주의자가 들어 있다 데이비슨의 개와 데리..

2023년 2023.06.29

헤겔 정신현상학의 이해

헤겔 정신현상학의 이해 한 자경 지은이의 말 헤겔의 《정신현상학 》은 각각의 인간 안에서 주체로서 활동하는 정신이 사적이고 주관적인 개체의식에서 어떻게 점차 공적이고 객관적인 보편정신으로 깨어나게 되는지 그 과정을 밝혀 놓은 책이다. 정신은 우선 사물세계를 대상적으로 바라보는 의식으로 활동한다. 그러다가 그렇게 대상을 의식하는 자기 자신을 자각함으로써 자기의식이 된다. 그리고 다시 자기의식은 자연의 생명적 활동성 안에서 생명으로서 자신을 자각하여 이성이 되고, 사회적 공동체와 역사 안에서 인륜적 주체 내지 역사적 주체로서의 자신을 자각하면서 정신이 된다. 이 처럼 정신의 자각과정은 한 단계에서 다음 단계로 나아가는 정신의 자기이행을 뜻하며, 이것은 곧 인간의 자기성장의 과정이고 인류의 자기발전의 역사이기..

2023년 2023.06.17

숲속의 자본주의

숲속의 자본주의 자본주의 변두리에서 발견한 단순하지만 완전한 삶 박혜윤 프롤로그, 골수를 맞보는 삶 열심히 사는 것과 의미 있게 사는 것은 다르다. 8 어디에 있든, 어떤 방식으로 살든, 나만의 방식으로 삶을 음미하는 법에 대해 말하고 싶었다. 모두가 자신의 일상이 갖고 있는 위대함을 남김없이 캐내어봤으면 했다. 우리에게는 생각보다 많은 자유가 있다. ‘어차피 사는 건 이런 거야.’ 그런 포기만큼은 내 삶에서 절대 용납하지 않겠다는 것이 바로 인생의 골수를 남김없이 먹겠다는 소로의 말에 담긴 의미일 것이다. 그렇게 내 삶이 성공과 실패로 평가되는 것이 아니라 내 것이 되고, 나만의 이야기, 나만의 의미, 나만의 배움이 된다. 그 삶을 예민한 시선으로 발견해내는 방법을 이 책에 담아봤다. 11 시골에서 자..

2023년 2023.06.07

이끼와 함께

이끼와 함께 작지만 우아한 식물, 이끼가 전화는 지혜 로빈 월 키머러 들어가는 글 이끼색 유리로 보는 세상 나는 식물 그 자체, 과학자로서 수행해온 연구, 포타와토미족 후손으로서 전통 지식에 대해 본능적으로 갖는 애정을 비롯해 여러 원천에서 식물에 관한 지식을 얻었다. 대학에서 식물의 학명을 배우기 훨신 전부터 식물은 내 선생님이었다. 주관과 객관, 영혼과 물질이라는 식물에 대한 두 관점은 내 목을 감싼 두 개이 줄처럼 대학에서 뒤엉키듯 섞였다. 내가 식물학을 배운 방식은 식물에 대한 내 전통 지식을 주변으로 밀어냈다. 이 책을 쓰는 것은 전통 지식을 회복해 올바른 자리를 되찾아주는 과정이었다. 6 옛이야기에서 개뚱지빠귀, 나무, 이끼, 인간과 같은 모든 생명체는 같은 언어를 썼다. 하지만 그 언어는 오..

2023년 2023.05.05

본다는 것의 의미

본다는 것의 의미 존 버거 1부 왜 동물들을 구경하는가? 평생선을 그리고 있는 삶으로 인해, 동물들은 인간에게 인간끼리의 그 어떤 교류와도 다른 친구로서의 관계를 제공하게 된다. 다르다는 것은, 그것이 하나의 종으로서의 인간이 가지고 있는 외로움에 대하여 제공되는 친구 관계이기 때문이다. 19세기 들어서 서유럽과 북미 지역에서는, 오늘날 20세기의 기업 자본주의에 의해 완성된, 하나의 과정이 시작되었다. 그것은 바로 인간과 자연 사이를 중재해온 모든 전통의 파괴이다. 이러한 파괴가 일어나기 전에 동물은 인간을 둘러싸고 있는 첫번째 집단이었다. 동물들은 인간과 함께 인간 세계의 중심에 자리잡고 있었다. 동물이 맨 처음 인간의 상상 속에 들장한 것은 전령이난 약속으로 였다. 가축이 된 동물들은 마술적인 기능..

2023년 2023.04.13

야생의 위로

야생의 위로,산책길 동식물에게서 찾은 자연의 항우울제 에마 미첼 머리말숲과 정원에서 찾은 치유 방식 솔직히 말하겠다. 나는 지난 25년 내내 우울증 환자였다. 어떤 날은 머릿속에 음침하고 부정적인 모래 진창이 가득 찬 것처럼 느껴진다. 또 어떤 날은 짙은 먹구름이 겹겹이 피어나 내 생각을 짓누르고 의욕을 빼앗아가는 것만 같다. 우울증이 어떤 식으로 작용하든 나는 움직이기 이려워지고, 실내에 처박혀 이불을 뒤집어쓰고서 넷플릭스를 보고 싶은 마음만 간절해진다. 하지만 억지로라도 소파에서 몸을 일으키면 우울함이 조금이나마 걷히리라는 것, 밖으로 나가 오두막집 뒤의 숲을 거닐면 어두운 생각이 완전히 사라지진 않더라도 분명 옆으로 비켜나리라는 것은 안다. 13 우리 집 대문을 나서 800미터를 걸어 동네 숲 어귀..

2023년 2023.04.11

승려와 철학자

승려와 철학자 인류의 삶에 관한 열흘간의 지적 성찰 장-프랑수아 르벨, 마티유 리카르 목차 여는 글 1. 과학연구에서 마음의 탐구로 2. 불교는 종교인가, 철학인가 3. 육체와 정신, 그리고 명상 4. 마음의 과학 5. 세계와 인간, 구도와 깨달음 6. 행동하는 서양 문화, 성찰하는 동양 불교 7. 불교에 대한 서양의 오해와 진실 8. 자비와 비폭력 9. 본성에 대한 망각, 선과 악 10. 과학의 성취가 남겨놓은 빈자리 11. 세계의 지붕 위에 걸린 붉은 깃발 12. 불교, 몰락과 부흥의 역사 13. 의례 행위, 미신인가 종교 의식인가? 14. 삶의 한단계로서의 죽음 15. 왕으로서의 개인 16. 마음의 본성 17. 어디로 기어 올라가는지 기억하라 18. 진보와 새로움에 대하여 19. 승려가 철학자에게 ..

2023년 2023.04.10

식물의 사유(1)_이리가레(하)

식물의 사유 로쉬 이리가레, 마이클 마더 이리가레 부분(2) 10장 자신을 잃고 자연에게 다시 도움을 요청하기 오늘날 시민들이 가장 긴급하게 해야 할 일은 자신들의 생명을 그릇된 담론과 환상에 불과한 약속에 맡기지 말고, 생명을 보존하고 키우는 데 관심을 기울이는 것이다. 110 이제 민주적 지도자가 존중을 요구해야 하는 첫 번째 공공선은 생명 그 자체와 생명의 본질적 환경에 관한 것이다.  그저 자연적으로 생존하는 것에서 사회적 구성원으로 건너가는 것만으로는 생명을 키우는 ㅇ일이 가능하지 않다. 여기에는 한단계가 부족하다. 내 생각에 이 단계는 자연적 가족에서 문화적 혹은 정치적 가족으로 이행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는 없다. 우리가 이 단계에 이르려면 관계적 차원으로서 우리의 성차화된 정체성을 취함으로..

2023년 2023.04.09